통합검색
뉴스 검색결과
-
-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
- [사진출처: 곡성군청 보도자료]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 곡성군(군수 유근기)은 석곡면 방송리에 소재한 마천목 묘와 재실이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로 지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마천목 묘소는 장방형의 형태로 묘표, 무인석, 망주석, 장명등 등 석물을 갖추고 있다. 무덤 주변에 곡장(曲牆)이라는 담을 두른 형태로 조선 초기 묘제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재실(영모재)은 가구 구조나 치목 수법이 뛰어나고, 사당(충정묘)은 〈마천목좌명공신녹권(보물제1469호)〉을 보관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역사적 가치 덕분에 금회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로 일괄 지정 받았다. 충정공 마천목(忠靖公 馬天牧, 1358~1431)은 고려말 조선초의 인물로 1400년(정종 2)에 태종 이방원을 도와 왕자의 난을 평정했다. 그 공로로 1401년에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추대됐고, 1429년(세종 11)에는 장흥부원군(長興府院君)에 봉해졌다.1358년(고려 공민왕 7, 戊戌) 장흥부 사악산 밑 모원촌에서 마천목이 곡성군을 대표하는 인물이 된 까닭은 무엇일까? 마천목은 부친 마영(馬榮)과 모친 평산 신씨 사이에서 출생했는데, 바로 모친이 곡성군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마천목은 15세가 되었을 때 그는 외가가 있는 곡성군 오지면 당상촌(堂上村)으로 이거(移居)했다. 이후 정계에 진출하여 좌명공신에 추대돼 지금까지 곡성을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가 된 것이다.곡성군에서 마천목과 관련한 유물이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90년에는 충정묘 보수 중에 〈마천목 좌명공신녹권〉이 발견됐다. 이후 2006년에 보물 제 1469호로 지정됐고 현재까지 소중하게 관리되고 있다.군 관계자는 “이번 문화재 지정은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마천목 유적지에 대해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게 된 좋은 결과”라며 “앞으로 원형을 최대한 보존해 후손들에 계승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용출처: 곡성군청 보도자료)
-
- 뉴스
- 이슈 FOCUS
-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
여행 검색결과
-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깊은 산세 속 고즈넉한 산사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청량사.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청량산 속 오래된 역사를 가진 청량사에 방문했다. 청량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화려해 ‘소금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게 된 산이다. 퇴계 이황이 청량산을 두고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 나와 백구뿐”이라는 시조를 읊은 데서 청량산의 아름다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산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깎아지른듯한 절벽이 독특한 모습의 암봉들과 어우러진 모습이 절경인 청량산은 천년고찰 청량사를 품고 있다. 청량사는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유명한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27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큰 사찰이었던 청량사는 이후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유리보전과 응진전만 남기고 오랫동안 폐사되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86년 지현스님이 퇴락한 사찰을 일구어 다시 천년고찰의 명맥을 잇게 된 청량사는 매년 산사음악회를 여는 등 지역민과 함께하는 도량이 되어 경북 지역의 대표 사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고려 시대 공민왕이 친필로 쓴 현판이 걸린 청량사의 법당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인 청량사 유리보전이다. 처마의 짜임이 예스럽고 소박한 유리보전 건물은 앞면의 중간 기둥의 용머리와 용꼬리 장식으로 조선 후기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막돌 초석에 기둥을 세우고 지은 팔작지붕 유리보전은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 기둥을 세운 것이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으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청량사에서는 뿔 셋 달린 소에 관련한 이야기가 담긴 소나무를 볼 수 있다. 청량사 창건 당시 이웃 마을에 뿔이 세 개 달린 송아지가 태어났는데 이 송아지는 힘이 장사라 주인조차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막무가내로 자라났다. 그러던 어느 날 멀리서 원효대사가 찾아오자 지금까지와는 달리 소가 순해져 사찰 창건을 위해 일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을 나르고 나무를 옮기는 등의 중노동을 하던 소는 사찰을 열심히 짓다가 준공을 하루 앞둔 저녁 과도하게 쌓인 피로로 인해 죽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원효대사가 소를 절 앞마당에 묻자 그 무덤에서 소나무 한 자루가 자라나 세 가지로 갈라져 자랐다고 한다. 이 뿔 셋 달린 소와 ‘삼각우송’이라고 불리는 소나무는 지장보살의 화신이라고 여겨지며 청량사를 찾는 이마다 그의 명복과 자신의 안녕을 빌곤 한다. 눈앞에 넓게 펼쳐지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청량사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가는 평화로운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
- 추천관광지
- 경북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
세 명의 판서가 지낸 영주 삼판서고택, 의료기관 제민루
- 삼 판서라는 말은 세 명의 판서라는 뜻이다. 삼판서고택은 세 명의 판서가 살았던 고택으로 영주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구성공원 남쪽의 위치(현재 영주동 431번지)하였으나 1961년 대홍수로 무너지고 2008년 10월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구학공원에 복원 및 이전되었다. 세 명의 판서를 소개하자면 첫 주인은 고려 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경이다. 정운경은 문신으로 조선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아버지이다. 1326년(충숙왕 13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330년 문과에 급제해 상주목 사록으로 나가며 여러 벼슬을 거쳐 치적을 쌓았다. 두 번째 주인은 정운경의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이다. 황유정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문신으로서 초계군수와 예조판서, 공조판서, 형조판서를 지냈다. 세 번째 주인은 황유정의 외손자인 이조판서 김당에게 물려주었고 이때부터 김판서의 후손들이 살았다. 이러한 덕택에 다양한 판서와 고위직을 배출한 명문가의 고택으로서 그 기를 받기 위해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수능보기 전이라던가 공무원시험치기 전에 기를 받아간다. 옆에는 제민루가 있다. 제민루는 2층 누각으로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공립 지방 의원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병원 역할을 하기 보다는 서당과 학자들의 공부하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이후 선조31년(1598년)에 군수 이대진이 제민루 북쪽에 의국을 만들고 의료 업무를 보았다. 공립 의원이지만 향촌 사회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양반, 상민, 천민, 승려 등 100여 명이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1961년 홍수로 붕괴되고 1965년 현재 자리에 세워지고 2007년에 누각을 개축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9-2
-
- 추천관광지
- 경북
-
세 명의 판서가 지낸 영주 삼판서고택, 의료기관 제민루
-
-
전묘후학 배치인 경산향교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인 경산향교는 1390년 고려 공민왕때 창건한 향교로 현유의 위패를 봉안하고 배향하는 곳이다. 조선시대인 1550년에 현령 박세린이 중수하였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3년 현령 박창이 복구하였다. 1681년에는 신교동으로 현령 홍처공이 감사 이수언에게 건의하여 옮기게 됐다. 1997년에는 도로 확장하는 공사로 말미암아 대성전과 내삼문, 사주문만 현재 위치로 옮기게 됐다. 경산향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는 형태로 배치되어있다. 또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뒤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를 전묘후학 배치라고 한다. 이런 부분은 전국에서 드문 사례로 경산향교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야사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이 향교에 모신 성현들의 위패가 파손될 위험에 처하자 당시 향교 일을 맡은 강개명이라는 인물이 위패를 성암산 범굴로 옮겨놓아 보존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성암산 이름은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경산향교에는 봄과 가을 음력2월, 8월 첫 번째 정일에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중국 송나라 주돈이, 주희 등 4현, 우리나라 설총, 최치원 등 18현에 대한 학덕과 유풍을 기리는 제례를 올리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 노비, 책 등을 지원 받아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제사의 역할만 감당하고 있다. 현재 내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닫혀 있으며 이전에는 인성예절교실, 전통문화체험활동 등을 통해 자라나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이 많았다. 주변에 영남대, 남매지, 경산자연마당이 있어 한바퀴 거닐며 산책을 할 수도 있다. ○ 위치: 경북 경산시 향교길 14-19
-
- 추천관광지
- 경북
-
전묘후학 배치인 경산향교
-
-
여수의 대표 힐링 섬 "여수 오동도"
- 아름다운 바다와 항구, 그리고 365개의 아름다운 섬을 품고 있는 여수에는 배를 타지 않고 갈 수 있는 섬인 오동도가 있다. 섬의 생김새가 오동잎을 닮았고, 오동나무가 많다고 해서 ‘오동도’라 지어졌다. 예전에는 오동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섰고 지금은 동백나무를 비롯해 희귀 수목과 기암절벽이 섬 전체를 감싸고 있어 어느 계절에 가도 아름다울 풍광을 자랑한다. 이름은 오동도 인데 왜 동백꽃이 유명하게 되었을까? 이와 관련하여 전설이 내려온다. 때는 고려 말. 풍수지리에 해박한 신돈은 전라도에서 새 임금이 나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마침 오동숲이 가득한 오동도에 금빛 봉황이 날아와 오동 열매를 먹으며 놀았다. 봉황이 온 곳에 새 임금이 나타난다는 소문이 돌자 공민왕은 오동도의 모든 오동나무를 베었다. 세월이 흘러 아리따운 한 여인과 그의 남편인 어부가 오동도에 살았는데 남편이 일을 하러 간 사이 아내가 도적들에게 쫓기다 바다 절벽에 몸을 던진다. 남편은 슬퍼하며 아내를 오동도 산기슭에 묻었는데 그 해 겨울부터 무덤가에 동백꽃이 피어났다고 한다. 오동도는 섬이지만 700미터가 넘는 방파제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벽화로 가득한 오동도 방파제 길은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뽑힐 정도로 아름다운 운치를 자랑한다. 나무 데크로 만들어진 오동도 산책로 곳곳에는 여수와 오동도를 주제로 한 시가 걸려있어 걷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된다. 오동도 정상에는 오동도 등대가 있다. 1952년 불을 밝힌 25m 높이의 오동도 등대는 여수항과 광양항을 오가는 선박의 뱃길을 안내해왔다. 2014년부터 운영 중인 등대 느림보 우체통은 등대를 찾는 방문객이 엽서에 사연을 담아 달팽이 우체통에 보내면 작성한 월을 기준으로 1년 후에 발송해 주고 있다. 등대 옆 찻집에서는 ‘당신만을 영원히 사랑합니다’, ‘힘들면 어때요’, ‘꽃길만 걸어요’ 등 사랑의 글귀가 담긴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다. 오동도는 한 폭의 그림처럼 남해안 바다와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한적하게 자연 속에서 나만의 감성을 즐기려는 여행자의 취향을 제대로 저격한다. 오동도의 모습을 보고 싶다면 여수의 또 다른 관광 명소인 여수해상케이블카도 이용해보자. ○ 위치 : 전남 여수시 수정동 산 1 – 11 여수해상케이블카 알아보기(클릭)
-
- 여행
-
여수의 대표 힐링 섬 "여수 오동도"
-
-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에서 떠나는 테마 시간여행
- 조선 왕조 500여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상징 전주시. 전주는 볼거리 먹거리가 풍성한 여행지다. 도심을 떠나 훌쩍 시간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지나간 역사를 따라 전주로 가보자. 경기전 경기전은 조선왕조를 연 태조의 초상화, 즉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태종 10년(1410년) 지어진 건물이다. 전주, 경주, 평양 등의 어진 봉양처를 처음에는 어용전이라고 불리었는데, 태종 12년(1412년)에 태조 진전(眞展)이라 하였다가 세종24년(1442년)에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 평양은 영숭전이라 각각 칭하였다.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102 전주향교 전주향교는 지금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고려 공민왕 3년(1354년)에 창건되어 조선 선조 36년(1603년) 순찰사 장만(張晩)이 좌사우묘지제(左社右廟之制)에 어긋난다고 조정에 품신하여 왕의 재가를 받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139 전주향교 한벽당 자연과 어우러진 풍류의 멋을 머금은 한벽당은 최승범 시인은 '한벽청연'에 담기었을 선비의 흥취와 그 아련함을 노래했다. 한벽당은 승암산 기슭인 발산 머리의 절벽을 깎아 세운 누각으로, 병풍바위 아래 아담한 정자가 한벽당이다. 과거에는 바위에 부딪친 안개를 '한벽청연'이라 하여 전주 8경의 하나로 꼽았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오목대, 이목대 한옥마을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곳, 승암산 자락에 자리 잡았으나 전라선 철도가 부설되면서 맥이 끊긴 나지막하게 솟은 펑퍼짐한 언덕바지, 기린로에서 태조로를 따라 좌측으로 보이는 곳이 오목대이며, 오목대와 연결되어 있는 육교 건너편으로 70m쯤 위쪽으로 가면 승암산 발치에 태조 이성계의 5대조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기 전에 살았던 구거지임을 알리는 이목대가 자리잡고 있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11 남고산성, 동고산성 전주에서 특별한 여행을 원한다면 동고산성과 남고산성을 찾아 견훤의 숨결을 찾아보면 어떨까? 동고산성과 남고산성. 백제의 부흥을 꿈꿨던 견훤의 숨결과 이야기가 담긴 동고산성과 남고산성은 복잡한 휴가지가 아닌 후백제의 역사부터 조선시대 역사까지 찾아 떠나볼 수 있는 특별한 나만의 여행지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할 수 있는 역사탐방코스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산228 치명자산 성지 전주한옥마을 동남쪽 가파른 산등성이. 우뚝 세워진 십자가가 선명하게 보이는 치명자성지는 순례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명소이다. 치명자(致命者)는 "목숨을 바친 자" 라는 뜻으로, 승암산과 중바위로 불리던 이곳에 '치명자'라는 말이 붙여진 것은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가톨릭신자에 대한 존경의 의미가 담겨 있다. 치명자산에는 신유년 천주교박해로 유항검의 가족7명이 순교하여 합장돼 있다. ○주소 : 전주시 완산구 바람쐬는길 89 (사진출처 : 전주문화관광)
-
- 여행
-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에서 떠나는 테마 시간여행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깊은 산세 속 고즈넉한 산사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청량사.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청량산 속 오래된 역사를 가진 청량사에 방문했다. 청량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화려해 ‘소금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게 된 산이다. 퇴계 이황이 청량산을 두고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 나와 백구뿐”이라는 시조를 읊은 데서 청량산의 아름다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산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깎아지른듯한 절벽이 독특한 모습의 암봉들과 어우러진 모습이 절경인 청량산은 천년고찰 청량사를 품고 있다. 청량사는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유명한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27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큰 사찰이었던 청량사는 이후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유리보전과 응진전만 남기고 오랫동안 폐사되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86년 지현스님이 퇴락한 사찰을 일구어 다시 천년고찰의 명맥을 잇게 된 청량사는 매년 산사음악회를 여는 등 지역민과 함께하는 도량이 되어 경북 지역의 대표 사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고려 시대 공민왕이 친필로 쓴 현판이 걸린 청량사의 법당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인 청량사 유리보전이다. 처마의 짜임이 예스럽고 소박한 유리보전 건물은 앞면의 중간 기둥의 용머리와 용꼬리 장식으로 조선 후기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막돌 초석에 기둥을 세우고 지은 팔작지붕 유리보전은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 기둥을 세운 것이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으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청량사에서는 뿔 셋 달린 소에 관련한 이야기가 담긴 소나무를 볼 수 있다. 청량사 창건 당시 이웃 마을에 뿔이 세 개 달린 송아지가 태어났는데 이 송아지는 힘이 장사라 주인조차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막무가내로 자라났다. 그러던 어느 날 멀리서 원효대사가 찾아오자 지금까지와는 달리 소가 순해져 사찰 창건을 위해 일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을 나르고 나무를 옮기는 등의 중노동을 하던 소는 사찰을 열심히 짓다가 준공을 하루 앞둔 저녁 과도하게 쌓인 피로로 인해 죽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원효대사가 소를 절 앞마당에 묻자 그 무덤에서 소나무 한 자루가 자라나 세 가지로 갈라져 자랐다고 한다. 이 뿔 셋 달린 소와 ‘삼각우송’이라고 불리는 소나무는 지장보살의 화신이라고 여겨지며 청량사를 찾는 이마다 그의 명복과 자신의 안녕을 빌곤 한다. 눈앞에 넓게 펼쳐지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청량사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가는 평화로운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
- 추천관광지
- 경북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
세 명의 판서가 지낸 영주 삼판서고택, 의료기관 제민루
- 삼 판서라는 말은 세 명의 판서라는 뜻이다. 삼판서고택은 세 명의 판서가 살았던 고택으로 영주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구성공원 남쪽의 위치(현재 영주동 431번지)하였으나 1961년 대홍수로 무너지고 2008년 10월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구학공원에 복원 및 이전되었다. 세 명의 판서를 소개하자면 첫 주인은 고려 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경이다. 정운경은 문신으로 조선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아버지이다. 1326년(충숙왕 13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330년 문과에 급제해 상주목 사록으로 나가며 여러 벼슬을 거쳐 치적을 쌓았다. 두 번째 주인은 정운경의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이다. 황유정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문신으로서 초계군수와 예조판서, 공조판서, 형조판서를 지냈다. 세 번째 주인은 황유정의 외손자인 이조판서 김당에게 물려주었고 이때부터 김판서의 후손들이 살았다. 이러한 덕택에 다양한 판서와 고위직을 배출한 명문가의 고택으로서 그 기를 받기 위해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수능보기 전이라던가 공무원시험치기 전에 기를 받아간다. 옆에는 제민루가 있다. 제민루는 2층 누각으로 조선에서 가장 오래된 공립 지방 의원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병원 역할을 하기 보다는 서당과 학자들의 공부하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이후 선조31년(1598년)에 군수 이대진이 제민루 북쪽에 의국을 만들고 의료 업무를 보았다. 공립 의원이지만 향촌 사회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양반, 상민, 천민, 승려 등 100여 명이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1961년 홍수로 붕괴되고 1965년 현재 자리에 세워지고 2007년에 누각을 개축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9-2
-
- 추천관광지
- 경북
-
세 명의 판서가 지낸 영주 삼판서고택, 의료기관 제민루
-
-
상주시 배낭여행 왕산역사공원
- 경상북도 상주는 조선 초기 경상감영이 있었던 곳으로 경상도 전체의 정치. 군사. 행정. 문화를 대표하는 대읍이었다. 상주는 상주역에 내리면 멀리 이동을 하지 않고 도보로 즐길 수 있는 볼거리가 많은 곳이다. 2,500원이라는 믿기지 않는 가격의 국밥은 여행의 덤이다. 상주역 주변에는 명실상주중앙시장을 비롯해서 왕산역사공원, 상주읍성문화거리, 상주향청, 아리랑문화의거리 등을 한 번에 모두 즐길 수 있다. 상주곶감으로 유명한 명실상주중앙시장을 구경한 후 그 옆에 위치한 왕산역사공원에 도착했다. 이곳 왕산은 경상감영이 있던 자리로 주요 관아시설 중 지방수령이 집무를 보던 동헌은 아쉽게도 1901년 화재로 남아있지 않다. 객사인 상상관, 외삼문인 태평루, 관아 정자인 침천정은 상주시 만산동 소재 임란북천전적지 경내로 이건하여 보존하고 있다. 햇살 좋은 겨울 한낮 상주시 어르신들이 왕산역사공원에서 따듯한 햇살을 맞으며 망중한을 즐기는 모습이 보기 좋다. 왕산역사공원은 이처럼 현지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이다. 이곳에는 상주인의 삶과 애환이 담긴 상주읍성에 대한 안내와 함께 상주 평화의 소녀상이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삼일절. 올해는 대한독립만세운동 103주년의 해이다. 왕산역사공원을 방문한다면 상주 평화의 소녀상을 방문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곳 왕산은 상주시 중앙에 위치한 명산이라고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31대 신문왕 7년(687년)에 주위 1천1백9보의 성주성을 쌓고 성의 4대문 중앙에 자리한 작은 산이 왕산이다. 고려 31대 공민왕 11년(1362) 홍건적 침략으로 고려 왕실이 상주목 상주성을 임시 거처 행궁으로 사용하였다. 이때 이 작은 산이 고려 왕실의 산이 되었다고 한다. 1700년대 제작된 상산지도에는 왕산을 배경으로 관아들이 있었으며, 조선조 1392년(태조 원년)부터 1592년까지 경상감영을 겸한 곳이 이 왕산 아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와서 상신삼악(갑장,노음,천봉)을 일컬어 오면서도 왕산을 영산으로 여겼으며 1617년 창석 이준이 편찬한 상산지에 의하면 상주에서 인재가 많이 배출된 것이 왕산이었기 때문에 이 왕산을 일명 장원봉이라고도 불렀다. 일제 강점기 때 왕산 이름을 앙산으로 하였다가 최근에 왕산으로 바로잡았다. 창석 이준 선생이 [왕산괴정] 시를 남겼고 1300년 역사를 간직한 산이 왕산이며 장원봉을 중심으로 왕산을 돌면서 소원을 빌면 한 가지 소원은 들어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왕산역사공원을 가볍게 산책을 즐긴 후 명실상주중앙시장 인근에 위치한 2,500원 국밥을 꼭 맛보기를 권해본다. 지금 같은 시절 2,500원이라니 먹으면서도 믿기지가 않는다. ○ 위치: 경북 상주시 서성동 163-48
-
- 추천관광지
-
상주시 배낭여행 왕산역사공원
-
-
수려한 경관과 아름다운 누의 모습을 가졌다. 영호루
- 영호루는 안동의 남쪽 낙동강 변에 위치한다. 언제 지어졌는지는 명확치 않다. 1274년 고려의 김방경 장군이 일본 원정을 떠났다가 돌아오는 길에 이곳에서 지은 시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중기 이전 지어진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고려시대 홍건적의 침입 시 안동으로 몽진해온 공민왕은 이 곳 영호루에서 군사 훈련을 참관하기도 하고, 배를 타거나 활을 쏘며 시름을 달래기도 하였다. 환도 후에는 친필로 영호루의 현판을 써서 하사하여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 이후, 진주의 촉석루, 밀양의 영남루와 더불어 경상도 지역의 3대 누로 불려왔다. 고려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내로라하는 문장가들은 모두 이곳에 들러 수려한 경관과 아름다운 누의 모습을 기문과 시로 지어 남겼고, 40여 점에 달하는 시판이 현재 게판되어 있다. 영호루는 조선시대부터 홍수로 인해 여러 차례 유실되었다가 중건되었다. 1934년의 홍수를 마지막으로 이전의 영호루는 주춧돌과 기둥만을 남긴 채 사라졌으나, 1970년 현재의 자리에 새롭게 복원하였다.
-
- 추천관광지
-
수려한 경관과 아름다운 누의 모습을 가졌다. 영호루
-
-
고려시대를 엿보고 싶다면 이곳으로, 태사묘
- 태사묘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는데 큰 공을 세운 개국공신 김선평, 권행, 장정필 삼태사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983년 공신묘가 지어졌고,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1542년 현재의 위치에 묘우가 건립되었다. 그 이래 지금까지 이곳에서 매년 봄과 가을, 제사를 지내오고 있다. 태사묘에는 묘우와 동·서재, 전사청 등 여러 채의 건물이 남아있는데, 그 중 보물각에는 고려 시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 유물 중의 일부는 왕건이 삼태사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일부는 '영가지'의 기록에 따르면 공민왕이 몽진 시 그의 일행을 환대해준 안동부에 하사한 물품이라고 한다. 이는 고려시대의 복식이나 문양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 추천관광지
-
고려시대를 엿보고 싶다면 이곳으로, 태사묘
-
-
우리나라 3대 누각에서 야경 감상을, 영남루 야경
-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목조 건축물인 밀양 영남루(密陽嶺南樓)는 신라 경덕왕(742~765년)때 신라의 5대 명사 중에 하나였던 영남사의 부속 누각에서 유래가 되었다. 고려 공민왕 때(1365) 밀양부사 김주(金湊)가 규모를 크게 중수하였으며, 현재의 누각은 이인재(李寅在)부사가 1844년에 중건한 것이다. 진주 촉석루, 평양의 부벽루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누각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보물 제 1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낙동강의 지류인 밀양강변 절벽위에 위치한 영남루는 깨끗한 밀양강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외적인 아름다운 모습뿐만 아니라 높은 누각에 올라 바라보는 주변의 경치 또한 수려하다. 특히 화려한 단청과 다양한 문양조각이 한데 어우러진 누각에는 퇴계 이황, 목은 이색, 문익점 선생 등 당대의 명필가들의 시문현판이 즐비하다. 그 중에서 1843년 당시 이인재부사의 아들 이증석(11세)과 이현석(7세) 형제가 쓴 영남 제일루(嶺南第一樓)와 영남루(嶺南樓) 현판은 관광객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서예가 들로부터 불가사의한 필력으로 지칭되고 있다. 그리고 영남루 일원에는 단군을 비롯한 창국 8왕조의 위패를 모신 천진궁과 아랑낭자의 전설을 간직한 아랑사당, 영남루 앞뜰에 꽃으로 피어난 석화군락, 530여년을 이어온 밀양읍성, 옛 영남사의 부속 암자였던 천년 고찰 무봉사가 있어 영남루는 밀양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내일동)
-
- 추천관광지
-
우리나라 3대 누각에서 야경 감상을, 영남루 야경
-
-
전묘후학 배치인 경산향교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인 경산향교는 1390년 고려 공민왕때 창건한 향교로 현유의 위패를 봉안하고 배향하는 곳이다. 조선시대인 1550년에 현령 박세린이 중수하였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3년 현령 박창이 복구하였다. 1681년에는 신교동으로 현령 홍처공이 감사 이수언에게 건의하여 옮기게 됐다. 1997년에는 도로 확장하는 공사로 말미암아 대성전과 내삼문, 사주문만 현재 위치로 옮기게 됐다. 경산향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는 형태로 배치되어있다. 또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뒤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를 전묘후학 배치라고 한다. 이런 부분은 전국에서 드문 사례로 경산향교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야사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이 향교에 모신 성현들의 위패가 파손될 위험에 처하자 당시 향교 일을 맡은 강개명이라는 인물이 위패를 성암산 범굴로 옮겨놓아 보존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성암산 이름은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경산향교에는 봄과 가을 음력2월, 8월 첫 번째 정일에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중국 송나라 주돈이, 주희 등 4현, 우리나라 설총, 최치원 등 18현에 대한 학덕과 유풍을 기리는 제례를 올리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 노비, 책 등을 지원 받아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으나 현재는 제사의 역할만 감당하고 있다. 현재 내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닫혀 있으며 이전에는 인성예절교실, 전통문화체험활동 등을 통해 자라나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이 많았다. 주변에 영남대, 남매지, 경산자연마당이 있어 한바퀴 거닐며 산책을 할 수도 있다. ○ 위치: 경북 경산시 향교길 14-19
-
- 추천관광지
- 경북
-
전묘후학 배치인 경산향교
-
-
수면 위로 반사되는 밀양 영남루 야경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내일동)에 위치한 영남루의 야경은 밀양시 8경 중 하나로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목조 건축물인 밀양 영남루(密陽嶺南樓)는 신라 경덕왕(742~765년)때 신라의 5대 명사 중에 하나였던 영남사의 부속 누각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고려 공민왕 때(1365) 밀양부사 김주(金湊)가 규모를 크게 중수하였으며, 현재의 누각은 이인재(李寅在)부사가 1844년에 중건한 것입니다. 진주 촉석루, 평양의 부벽루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누각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보물 제 14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낙동강의 지류인 밀양강변 절벽위에 위치한 영남루는 깨끗한 밀양강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외적인 아름다운 모습뿐만 아니라 높은 누각에 올라 바라보는 주변의 경치 또한 수려하며, 특히 화려한 단청과 다양한 문양조각이 한데 어우러진 누각에는 퇴계 이황, 목은 이색, 문익점 선생 등 당대의 명필가들의 시문현판이 즐비합니다. <사진 출처: 밀양시 문화관광> 그 중에서 1843년 당시 이인재부사의 아들 이증석(11세)과 이현석(7세) 형제가 쓴 영남 제일루(嶺南第一樓)와 영남루(嶺南樓) 현판은 관광객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서예가 들로부터 불가사의한 필력으로 지칭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남루 일원에는 단군을 비롯한 창국 8왕조의 위패를 모신 천진궁과 아랑낭자의 전설을 간직한 아랑사당, 영남루 앞뜰에 꽃으로 피어난 석화군락, 530여년을 이어온 밀양읍성, 옛 영남사의 부속 암자였던 천년 고찰 무봉사가 있어 영남루는 밀양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 추천관광지
-
수면 위로 반사되는 밀양 영남루 야경
-
-
수도향교로 불리우며 위세를 떨친 전주향교
- 전주향교는 지금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고려 공민왕 3년(1354년)에 창건되어 조선 선조 36년(1603년) 순찰사 장만(張晩)이 좌사우묘지제(左社右廟之制)에 어긋난다고 조정에 품신하여 왕의 재가를 받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전주향교는 전라도 53관의 수도향교(首都鄕校)로 불리울 정도로 그 규모와 세를 자랑했는데, 조선 후기의 경내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 각 10칸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신문(神門), 외문(外門), 만화루(萬化樓), 5칸의 명륜당, 각 6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3칸의 계성사(啓聖祠), 신문(神門), 입덕문(入德門), 4칸의 사마재(司馬齋), 6칸의 양사재(養士齋), 2칸의 책판고(冊板庫), 직원실, 제기고(祭器庫), 수복실 등 총 99칸인 대규모의 건물로 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향교가 언덕에 자리하여 대성전이 뒤에 위치한 반면 전주향교는 평지에 위치하고 있어 전묘후학으로 대성전이 앞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의 향교는 1987년 대대적인 보수를 거친 것으로 1992년 사적 제379호로 지정되었다. 대성전과 명륜당 앞뜰에는 약 400여년 정도 된 은행나무가 각각 2그루씩 있다. 벌레를 타지 않는 은행나무처럼 유생들로 건전하게 자라 바른 사람이 되라는 의미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향교 내 대성전 우측 은행나무는 "수컷이 암컷으로 변하여 은행이 열게 되었다"하여 자웅나무라고 부르는데, 이 은행을 따서 지금도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또한 일월문 앞 250년 된 은행나무는 은행을 따서 공을 빌면 과거에 급제한다는 전설이 내려져 오고 있다.
-
- 추천관광지
-
수도향교로 불리우며 위세를 떨친 전주향교
-
-
왕들이 거닐던 천년의 숲 세조길
- 왕들이 거닐던 천년의 숲 세조길 신라 진흥왕 14년인 553년, 당대의 고승 의신대사가 창건한 법주사는 시대를 달리하면서도 많은 왕들과 인연이 깊은 고찰이다. 고려의 왕 숙종이 아우 대각국사를 위해 법회를 열었고,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까지 갔다가 돌아가는 길에 법주사를 찾았다.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기도를 위해 부속 암자 상환암을 찾았고, 세조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부속암자 복천암에서 법회를 열고 계곡물에 그 자취를 남기기도 했다. 고려 때 법주사를 찾은 왕들이 부속암자를 이용했는지 전한바 없지만 두 번 찾기 힘든 어가행차에 숲 좋고 골 깊은 속리산의 계곡을 마다했을 리는 없다. 분명한 것은 조선의 태조와 세조 두 임금이 부속암자로 가기위해 걸었던 숲이다. 태조의 상환암과 세조의 복전암은 법주사에서 세심정까지의 길을 걷지 않고는 다다를 수 없기 때문이다. 법주사 앞을 적시며 흐르는 달천에서 상류 계곡까지. 당시는 저수지도 없었으니 자연그대로의 계곡을 걸었을 터, 생각만 해도 당시의 길을 걷고 싶던 차, 세조길이 탄생했으니 세조의 자취를 생각하며 그 길 걸어볼 일이다. 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
- 추천관광지
-
왕들이 거닐던 천년의 숲 세조길
포토뉴스 검색결과
-
-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
- [사진출처: 곡성군청 보도자료]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 곡성군(군수 유근기)은 석곡면 방송리에 소재한 마천목 묘와 재실이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로 지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마천목 묘소는 장방형의 형태로 묘표, 무인석, 망주석, 장명등 등 석물을 갖추고 있다. 무덤 주변에 곡장(曲牆)이라는 담을 두른 형태로 조선 초기 묘제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 재실(영모재)은 가구 구조나 치목 수법이 뛰어나고, 사당(충정묘)은 〈마천목좌명공신녹권(보물제1469호)〉을 보관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역사적 가치 덕분에 금회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로 일괄 지정 받았다. 충정공 마천목(忠靖公 馬天牧, 1358~1431)은 고려말 조선초의 인물로 1400년(정종 2)에 태종 이방원을 도와 왕자의 난을 평정했다. 그 공로로 1401년에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추대됐고, 1429년(세종 11)에는 장흥부원군(長興府院君)에 봉해졌다.1358년(고려 공민왕 7, 戊戌) 장흥부 사악산 밑 모원촌에서 마천목이 곡성군을 대표하는 인물이 된 까닭은 무엇일까? 마천목은 부친 마영(馬榮)과 모친 평산 신씨 사이에서 출생했는데, 바로 모친이 곡성군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마천목은 15세가 되었을 때 그는 외가가 있는 곡성군 오지면 당상촌(堂上村)으로 이거(移居)했다. 이후 정계에 진출하여 좌명공신에 추대돼 지금까지 곡성을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가 된 것이다.곡성군에서 마천목과 관련한 유물이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90년에는 충정묘 보수 중에 〈마천목 좌명공신녹권〉이 발견됐다. 이후 2006년에 보물 제 1469호로 지정됐고 현재까지 소중하게 관리되고 있다.군 관계자는 “이번 문화재 지정은 오랜 숙원 사업이었던 마천목 유적지에 대해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게 된 좋은 결과”라며 “앞으로 원형을 최대한 보존해 후손들에 계승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용출처: 곡성군청 보도자료)
-
- 뉴스
- 이슈 FOCUS
-
곡성군 마천목 묘와 재실, 전라남도 기념물 252호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