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여행 검색결과

  • 영월 마애여래좌상, 불균형과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고려 마애상
      영월 주천강의 물살을 배경 삼아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독특한 마애불,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주목받았다. 불균형과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고려 마애상 영월 마애여래좌상을 소개한다.         3.5m의 거대한 높이를 자랑하는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불균형한 모습과 비대칭의 특징이 크게 드러나는 독특한 마애불이다. 상체는 돋을새김 되어 바위에서 튀어나올 듯하지만 하체는 주로 선으로 새겨진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옷주름과 양 무릎, 발의 표현이 두드러지게 도식화되어있는 등 기존의 마애불에서 보기 어려운 개성 있는 모습을 자랑한다.         또한 상체에 비해 하체가 매우 크게 표현되어 있고, 상체는 길어 배경이 되는 돌처럼 불균형한 특성이 한눈에 보인다. 오른손과 왼손을 가슴께까지 올려 오른손은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는 자세도 매우 독특하다.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한 이 마애여래좌상은 그 모양과 박력 있는 크기, 고려 시대에 제작된 천년 마애불임을 감안하여 1982년에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월 마애여래좌상의 옆에는 정자가 하나 있다. 이 정자는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는 요선정으로, 요선계원들의 역사의식과 나라 사랑을 엿볼 수 있는 정자다. 숙종의 어제시 현판은 원래 봉안되었던 청허루가 붕괴되자 일본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낀 요선계 계원들이 많은 돈을 주고 어제시 현판을 도로 사와 요선정에 새로이 봉안했다.         법당이 아닌 야외에 조성되어 누구에게나 노천 법당이 돼주었던 마애불은 언제나 편안하게 부처님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백덕산과 구룡산, 푸른 주천강의 물살을 배경으로 부처님을 만날 수 있는 영월 마애여래좌상에서 이 특별한 고려 마애상만의 특징을 찬찬히 관찰해 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무릉리 산 139 
    • 추천관광지
    • 강원
    2022-09-19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영월 마애여래좌상, 불균형과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고려 마애상
      영월 주천강의 물살을 배경 삼아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독특한 마애불,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주목받았다. 불균형과 비대칭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고려 마애상 영월 마애여래좌상을 소개한다.         3.5m의 거대한 높이를 자랑하는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불균형한 모습과 비대칭의 특징이 크게 드러나는 독특한 마애불이다. 상체는 돋을새김 되어 바위에서 튀어나올 듯하지만 하체는 주로 선으로 새겨진 영월 마애여래좌상은 옷주름과 양 무릎, 발의 표현이 두드러지게 도식화되어있는 등 기존의 마애불에서 보기 어려운 개성 있는 모습을 자랑한다.         또한 상체에 비해 하체가 매우 크게 표현되어 있고, 상체는 길어 배경이 되는 돌처럼 불균형한 특성이 한눈에 보인다. 오른손과 왼손을 가슴께까지 올려 오른손은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는 자세도 매우 독특하다.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한 이 마애여래좌상은 그 모양과 박력 있는 크기, 고려 시대에 제작된 천년 마애불임을 감안하여 1982년에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월 마애여래좌상의 옆에는 정자가 하나 있다. 이 정자는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의 어제시를 봉안하고 있는 요선정으로, 요선계원들의 역사의식과 나라 사랑을 엿볼 수 있는 정자다. 숙종의 어제시 현판은 원래 봉안되었던 청허루가 붕괴되자 일본인인 주천면 경찰지소장이 소유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일본인이 숙종대왕의 어제시 현판을 소유하였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낀 요선계 계원들이 많은 돈을 주고 어제시 현판을 도로 사와 요선정에 새로이 봉안했다.         법당이 아닌 야외에 조성되어 누구에게나 노천 법당이 돼주었던 마애불은 언제나 편안하게 부처님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백덕산과 구룡산, 푸른 주천강의 물살을 배경으로 부처님을 만날 수 있는 영월 마애여래좌상에서 이 특별한 고려 마애상만의 특징을 찬찬히 관찰해 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무릉리 산 139 
    • 추천관광지
    • 강원
    2022-09-19
  • 통일신라 선각 기법을 느낄 수 있는 남원 선계리 마애여래좌상
    신계리 마애여래불은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풍악산 동쪽 중턱에 우뚝 솟은 바위의 남면에 새겨진 불상이다. 보물 제423호. 3.4m의 크기이며, 하나의 바위를 다듬고 조각하여 불상과 광배(光背 : 붓다의 몸에서 나온 빛의 표현)를 새겼다. 코와 양 귓불 일부분이 부서져 없어졌으나,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에 관한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배경을 알 수 없다. 마애여래좌상은 바위 면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깊이 깎아 내어 바위 면이 불상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불상은 환조(丸彫)에 가까울 정도로 고부조로 새겨져 있다. 불상과 광배는 함께 새겼지만, 대좌를 특별히 조성하지 않는 것은 자연 그 자체를 대좌로 삼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애여래좌상은 머리와 몸의 비례가 비교적 적절하지만, 두 개의 네모난 돌을 포개어 놓은 듯한 상체와 하체의 모습에서 경직된 분위기가 나타난다. 특히 넓은 어깨에 비해 허리가 짧아 어딘지 모르게 움츠린 듯한 느낌마저 든다. 마애여래좌상은 마애불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같이 윗부분이 아랫부분에 비해 입체적이다. 마애여래좌상은 편단우견(偏袒右肩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며 옷을 입는 것) 형식으로 법의(法衣 : 불상의 옷)를 입고 있으며,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있다. 불상은 둥글고 큰 육계(肉髻 : 정수리 위에 솟아나온 부분)와 소발(素髮 : 머리카락이 표현되지 않는 것) 형식의 머리카락, 반원을 그린 듯한 눈썹과 가늘고 긴 눈, 오뚝한 코, 다문 입, 적당한 크기의 귀를 가지고 있다. 불상의 윗입술이 살짝 들려 있는 것은 고려시대 전기에 많이 보이는 특징이다. 상호(相好 : 얼굴)의 표정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연출되지만, 전체적으로 약간 부드러우면서도 당찬 분위기를 자아낸다. 목에는 삼도(三道 : 세 개의 선)가 표현되어 있다.     불상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마귀를 항복시키고 이를 지신(地神)에게 증명하게 하는 손 자세로, 오른손은 땅을 가리키며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한 채 배 앞에 둠)의 자세에서 땅을 가리키던 오른손을 지금 막 배 앞으로 들어 올린 듯한데, 그 의미는 알 수가 없다. 이렇게 비정형화된 수인(手印 : 손 자세)은 고려시대 전기 불상에서 다양하게 보인다. 손가락 하나하나의 동작마저도 세밀하게 표현하려 했던 오른손과 자연스럽게 다리 위에 올려놓은 왼손의 조각 솜씨가 돋보인다. 편단우견 형식으로 입고 있는 법의는 가슴 앞을 가로 지르는 부분만 입체적으로 처리되었을 뿐, 나머지 부분은 선각(線刻)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법의에 보이는 선각 기법은 두광(頭光 : 머리 주위의 빛의 표현)의 12엽(葉) 연화문(蓮華文)에서도 보인다. 광배는 바위 면 전체를 할애하여 나타내었는데, 두광과 신광(身光 : 몸 주위의 빛의 표현)을 커다란 연주문(聯珠文 : 구슬로 연결된 문양)으로 구획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연주문은 큼직큼직하게 입체적으로 새겨졌는데, 이러한 표현법은 매우 드문 예이다. 광배의 가장자리에는 화염문(火焰文 : 불꽃 문양)으로 마감하였는데, 정돈된 느낌이 들진 않지만, 조각은 힘차고 역동적이다.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은 상호의 표정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모습이 여전히 남아 있으나 경직된 분위기와 법의 주름에 보이는 선각 기법 등을 통하여 고려시대 전기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산18
    • 추천관광지
    2020-09-1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