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1-26(수)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여행 검색결과

  •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 광주의 그 날을 기리며
      비극을 덮기 위해 벌어진 조작과 왜곡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제대로 알리려는 노력으로 재조명된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기념관과 추모관, 체험 학습장 등을 통해 그 올바른 가치와 의미가 환기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 있는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에서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역사를 만날 수 있었다.         5.18 기념문화센터는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자라나는 후세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센터다. 5.18 기념문화센터는 주변의 5.18 기념공원, 5.18 자유공원, 상무시민공원, 5.18 교육관과 함께 관리되고 있다.         5.18 기념문화센터의 시설은 크게 공연장, 5.18 기념공원, 5.18 자유공원으로 나뉜다. 먼저 공연장인 민주홀, 대동홀, 리셉션홀에서는 공연과 강연 등이 진행되어 예약 후 대관을 할 수 있다.         “아! 광주여 영원한 빛이어라”라는 주제로 조성된 5.18 기념공원은 하늘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태극 모양을 하고 있다. 지상과 지하에 5.18 기념문화관과 추모공간, 조형물들이 있어 이곳저곳을 둘러보기에 좋다.         5.18 자유공원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많은 광주 시민들이 군사재판을 받았던 상무대 군사 법정과 영창을 원형 그대로 복원 및 재현한 곳이다. 불의에 항거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밀랍인형들로 실감나게 재현한 자유공원에는 법정, 영창, 헌병대 생활 장소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또한 광주 최초의 노동야학이었던 들불야학의 학생과 교사 중 5.18 민주항쟁으로 인해 돌아가신 7명의 열사를 기리는 들불열사 기념비도 만날 수 있다.         역사가 살아 숨쉬는 5.18 기념문화센터는 또다른 아픈 역사를 맞이하지 않기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알리고 있다.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에서 광주가 겪어낸 오월의 의미를 되새겨보자.     〇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 추천관광지
    • 광주
    2022-12-07
  • 광주 5.18 추모관, 민권 투쟁의 역사와 의로운 희생의 가치
      ‘그러나 광주는 결코 그들이 원하던 대로 죽음으로 끝나지 않았다’. 5.18에 대한 5.18 추모관 전시관의 설명 중 일부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희생으로 끝맺음 한 것이 아니라 민주 항쟁을 통해 자주, 민주, 통일의 전통을 계승한 민권 투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광주 5.18 추모관을 소개한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불법적으로 집권한 신군부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난 시민봉기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전개되었던 시위는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일어났다. 강경 진압을 통해 시위를 진압하고자 했던 신군부는 공수부대를 광주로 보내 시위 참여자 뿐만 아니라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집단 발포를 했다. 이 과정에서 광주 시민 166명이 사망, 54명이 행방불명, 3139명이 부상을 입는 등의 희생이 생겼다.           학살을 주도한 신군부세력은 이후 언론 검열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이 광주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막고, 시위 주도자를 불순분자 또는 간첩으로 규정해 오랜 시간 동안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 및 폄훼해 왔다. 그러나 결국 5.18 민주화운동은 전두환 정권의 부도덕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여 신군부 정권에서 문민정부로의 전환을 이루어냈다. 또한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및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은 “국민이 헌법수호를 위하여 결집을 이룬 것”으로 재평가 받게 되었다.         광주 5.18 추모관은 5.18 당시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을 테마별로, 시간 순서대로 세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현장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을 들으며 영상과 글로 역사적 기록을 되짚어보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다. ‘피에 물든 태극기’, ‘시체를 감싼 비닐’ 등 당시에 사용되었던 물건들이 그대로 전시되어 있어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5.18 추모관에서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적, 역사적 의미를 확인해 보면 어떨까.         광주 사태 또는 광주 폭도 진압으로 불렸던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비극을 덮기 위해 벌어진 조작과 왜곡에도 불구하고 추모관과 묘지, 체험 학습장 등을 통해 그 올바른 가치와 의미가 환기되었다.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민주 영령들을 추모하고 아픔을 같이 나누며 다시는 같은 아픔이 생기지 않도록 경계하는 광주 5.18 추모관에서 한국의 민주 발전에 대해 배워보자.             〇 위치 : 광주 북구 운정동 582-4
    • 추천관광지
    • 광주
    2022-08-21
  • 고종황제의 버팀목, 왕산 허위의 역사가 있는 구미왕산허위선생기념관
    왕산허위선생기념관은 왕산 허위 선생의 순국 101주년이었던 지난 2009년 개관하였다. 선생의 애국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지어진 곳으로 1층에는 추모의 장, 훈장실, 전시실, 기획전시실, 영상추모관 등이 있고 2층에는 성인열람실, 서고, 시청각 교육장 등이 있다.   왕산허위선생은 구한말 구미 임은동에서 대대로 유학을 전념하는 가정에서 태어나 유학자로 성장하였다. 어릴 적부터 호연지기를 기르며 병정놀이를 하였던 것을 보면 일찍이 그 성격이 훗날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혼잡했던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 허위는 글만 읽어서는 안 되겠다는 판단에 동지들을 설득하여 김산(현재 김천)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고종황제와 연이 닿게 되었다. 원구단 참봉으로 발탁돼 5년 만에 종2품 가선대부 평리원 재판장(현재 대법원장)이 되었고 의정부 참찬, 비성원 승(현재 비서실장) 등 고관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런 애국심과 충절로 고종황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1904년 한일의정서가 강제로 조인돼 허위는 배일통문을 배포하고 반일진회운동을 전개하다가 일본 헌병대에 구금돼 관직을 사직하게 되었다. 1905년에는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1907년에는 고종황제의 강제퇴위, 정미7조약, 대한제국의 군대해산 등 많은 일이 일어나게 되었다. 같은 뜻을 가진 이들을 규합해 의병연합체인 13도 창의군을 조직, 군사장이 되었고 1908년에는 의병총대장이 되었다.         1908년 왜적의 심장부인 통감부를 공격하기 위해 선발대 300명과 함게 동대문밖 30리까지 진격하였다. 하지만 후속부대의 지연으로 실패하였고 경기도 일대에서 추스르다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결국 사형선고를 받고 교수형으로 1908년 9월 27일 순국하였다.   허위 왕산 선생의 생가에 자리 잡은 허위선생 기념공원에서도 선생의 가족들이 나라를 위해 희생한 것을 알아갈 수 있다. 우리나라 의인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 정신을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위치: 경북 구미시 왕산로 28-33    
    • 추천관광지
    • 경북
    2021-10-22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 광주의 그 날을 기리며
      비극을 덮기 위해 벌어진 조작과 왜곡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제대로 알리려는 노력으로 재조명된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기념관과 추모관, 체험 학습장 등을 통해 그 올바른 가치와 의미가 환기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 있는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에서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역사를 만날 수 있었다.         5.18 기념문화센터는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자라나는 후세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립된 문화센터다. 5.18 기념문화센터는 주변의 5.18 기념공원, 5.18 자유공원, 상무시민공원, 5.18 교육관과 함께 관리되고 있다.         5.18 기념문화센터의 시설은 크게 공연장, 5.18 기념공원, 5.18 자유공원으로 나뉜다. 먼저 공연장인 민주홀, 대동홀, 리셉션홀에서는 공연과 강연 등이 진행되어 예약 후 대관을 할 수 있다.         “아! 광주여 영원한 빛이어라”라는 주제로 조성된 5.18 기념공원은 하늘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태극 모양을 하고 있다. 지상과 지하에 5.18 기념문화관과 추모공간, 조형물들이 있어 이곳저곳을 둘러보기에 좋다.         5.18 자유공원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많은 광주 시민들이 군사재판을 받았던 상무대 군사 법정과 영창을 원형 그대로 복원 및 재현한 곳이다. 불의에 항거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밀랍인형들로 실감나게 재현한 자유공원에는 법정, 영창, 헌병대 생활 장소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또한 광주 최초의 노동야학이었던 들불야학의 학생과 교사 중 5.18 민주항쟁으로 인해 돌아가신 7명의 열사를 기리는 들불열사 기념비도 만날 수 있다.         역사가 살아 숨쉬는 5.18 기념문화센터는 또다른 아픈 역사를 맞이하지 않기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알리고 있다.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광주 5.18 기념문화센터에서 광주가 겪어낸 오월의 의미를 되새겨보자.     〇 위치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52
    • 추천관광지
    • 광주
    2022-12-07
  • 광주 5.18 추모관, 민권 투쟁의 역사와 의로운 희생의 가치
      ‘그러나 광주는 결코 그들이 원하던 대로 죽음으로 끝나지 않았다’. 5.18에 대한 5.18 추모관 전시관의 설명 중 일부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희생으로 끝맺음 한 것이 아니라 민주 항쟁을 통해 자주, 민주, 통일의 전통을 계승한 민권 투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광주 5.18 추모관을 소개한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불법적으로 집권한 신군부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난 시민봉기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전개되었던 시위는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일어났다. 강경 진압을 통해 시위를 진압하고자 했던 신군부는 공수부대를 광주로 보내 시위 참여자 뿐만 아니라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집단 발포를 했다. 이 과정에서 광주 시민 166명이 사망, 54명이 행방불명, 3139명이 부상을 입는 등의 희생이 생겼다.           학살을 주도한 신군부세력은 이후 언론 검열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이 광주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막고, 시위 주도자를 불순분자 또는 간첩으로 규정해 오랜 시간 동안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 및 폄훼해 왔다. 그러나 결국 5.18 민주화운동은 전두환 정권의 부도덕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여 신군부 정권에서 문민정부로의 전환을 이루어냈다. 또한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및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은 “국민이 헌법수호를 위하여 결집을 이룬 것”으로 재평가 받게 되었다.         광주 5.18 추모관은 5.18 당시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을 테마별로, 시간 순서대로 세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현장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라디오 방송을 들으며 영상과 글로 역사적 기록을 되짚어보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다. ‘피에 물든 태극기’, ‘시체를 감싼 비닐’ 등 당시에 사용되었던 물건들이 그대로 전시되어 있어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5.18 추모관에서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적, 역사적 의미를 확인해 보면 어떨까.         광주 사태 또는 광주 폭도 진압으로 불렸던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비극을 덮기 위해 벌어진 조작과 왜곡에도 불구하고 추모관과 묘지, 체험 학습장 등을 통해 그 올바른 가치와 의미가 환기되었다.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민주 영령들을 추모하고 아픔을 같이 나누며 다시는 같은 아픔이 생기지 않도록 경계하는 광주 5.18 추모관에서 한국의 민주 발전에 대해 배워보자.             〇 위치 : 광주 북구 운정동 582-4
    • 추천관광지
    • 광주
    2022-08-21
  • 고종황제의 버팀목, 왕산 허위의 역사가 있는 구미왕산허위선생기념관
    왕산허위선생기념관은 왕산 허위 선생의 순국 101주년이었던 지난 2009년 개관하였다. 선생의 애국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지어진 곳으로 1층에는 추모의 장, 훈장실, 전시실, 기획전시실, 영상추모관 등이 있고 2층에는 성인열람실, 서고, 시청각 교육장 등이 있다.   왕산허위선생은 구한말 구미 임은동에서 대대로 유학을 전념하는 가정에서 태어나 유학자로 성장하였다. 어릴 적부터 호연지기를 기르며 병정놀이를 하였던 것을 보면 일찍이 그 성격이 훗날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혼잡했던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 허위는 글만 읽어서는 안 되겠다는 판단에 동지들을 설득하여 김산(현재 김천)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고종황제와 연이 닿게 되었다. 원구단 참봉으로 발탁돼 5년 만에 종2품 가선대부 평리원 재판장(현재 대법원장)이 되었고 의정부 참찬, 비성원 승(현재 비서실장) 등 고관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런 애국심과 충절로 고종황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1904년 한일의정서가 강제로 조인돼 허위는 배일통문을 배포하고 반일진회운동을 전개하다가 일본 헌병대에 구금돼 관직을 사직하게 되었다. 1905년에는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1907년에는 고종황제의 강제퇴위, 정미7조약, 대한제국의 군대해산 등 많은 일이 일어나게 되었다. 같은 뜻을 가진 이들을 규합해 의병연합체인 13도 창의군을 조직, 군사장이 되었고 1908년에는 의병총대장이 되었다.         1908년 왜적의 심장부인 통감부를 공격하기 위해 선발대 300명과 함게 동대문밖 30리까지 진격하였다. 하지만 후속부대의 지연으로 실패하였고 경기도 일대에서 추스르다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결국 사형선고를 받고 교수형으로 1908년 9월 27일 순국하였다.   허위 왕산 선생의 생가에 자리 잡은 허위선생 기념공원에서도 선생의 가족들이 나라를 위해 희생한 것을 알아갈 수 있다. 우리나라 의인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 정신을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위치: 경북 구미시 왕산로 28-33    
    • 추천관광지
    • 경북
    2021-10-2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