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 검색결과
-
-
경주시, 경주읍성 동·북 성벽 2025년 복구 계획
- 경북 경주읍성(사적 제96호)이 추가로 복원돼 도심권의 새로운 관광 명소가 될 전망이다. 경주시는 지난 2018년 9월 복원이 완료된 경주읍성 324m 구간에 이어 동성 벽과 북성 벽 215m 구간을 추가로 복원한다고 18일 밝혔다. 경주읍성은 북부동과 동부동 일원에 있는 지방 읍성이다. 고려 시대에 축조돼 조선 시대를 거쳐 근·현대에 경주의 역사와 함께해 온 중요한 유적이다. 경주읍성 추가 복원은 총사업비 146억 원을 들여 9월 착공해 2025년까지 2년간 진행된다. 성벽 복원, 치성 4개소, 여장(女墻·적에게 사격을 가할 때 몸을 보호하는 시설) 347m, 주변 정비 등이다. 시는 경주읍성 추가 복원으로 경주의 옛 모습을 되찾고, 도심권 유적을 복원해 역사문화 도시 경주의 이미지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도심권 관광명소를 조성해 도심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방침이다. 시는 2009년 경주 읍성 정비·복원 기본 계획을 세워 2014~18년 동성 벽의 발굴·복원을 마쳤다. 또 2019~22년 계림초등학교 동·북편 구간의 발굴조사를 마무리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동·북성 벽의 복원정비를 위한 실시설계와 문화재청 설계 승인을 완료했다. 주낙영 시장은 "경주 읍성 성벽 복원·정비로 경주의 옛 모습을 되찾고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며 도심권 관광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 읍성 복원·정비는 2002~2030년 총사업비 605억 원이 투입되는 장기 사업으로 주요 사업은 성벽복원 1.1㎞, 문루 복원 2개소 등이다.
-
- 뉴스
-
경주시, 경주읍성 동·북 성벽 2025년 복구 계획
-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
- [사진출처 경주시청 홈페이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경주시청(시장 주낙영)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과 추진 중인 경주읍성 복원정비 사업부지(5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중 조선시대에 축조된 성벽에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 사용된 팔부중상* 면석 3매가 기단석으로 재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 청중을 구성하는 다양한 무리 중 하나로, 인간 이외의 다양한 존재를 일컫는 집합적 용어임. 천(天)ㆍ가루라(迦樓羅) / 용(龍)ㆍ야차(夜叉) / 건달바(乾闥婆)ㆍ아수라(阿修羅) / 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喉羅伽) 등 하늘의 천신(天神), 땅에 사는 지신(地神)과 축생(畜生), 물에 사는 수신(水神), 그리고 인간도 신도 아닌 반인반신(半人半神)이나 귀신같은 것들을 의미함. 팔부중상 면석은 다른 나라 탑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고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창안된 독특한 부조상임.읍성 동벽의 치성 기단석으로 사용 ‘팔부중상’ 이 부조된 탑재 3매는 읍성 5구간(경주읍성의 동문(향일문) 및 성벽의 북쪽구간으로 북벽으로 연결되는 구간)의 체성 벽에 덧대어 있는 치성의 가장 아래인 기단석으로 사용되었다. 5구간에서 치성은 현재 1개소만 확인되었는데, 최근까지 주택이 있었던 자리로 기초석과 기단석* 정도만 남아있다. 팔부중상이 부조된 면석 3매는 치성 기단의 북쪽과 동쪽 모서리를 연결하며 놓여 있으며, 기단석에는 팔부중상의 면석 이외에도 탑 부재들과 건물 터의 주초석 등이 사용되었다. 현재 기초석의 침하로 팔부중상 면석들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팔부중상의 부조 면이 위로 보며 놓여 있기 때문에 치성이 축조되었을 당시에는 그 위로 많은 석재들이 올려져있어 성벽 외부로 상이 아예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치성을 올리기 위한 기초석의 범위는 동서 길이 11m, 남북 너비 11m이며, 치성 기단석의 범위는 길이 10m, 너비 8m 이다.동·남·북면의 팔부중상만 확인‘팔부중상’ 면석 3매에는 각 1매에 1쌍의 팔부중상이 부조되어있다. 이번에 출토된 팔부중상은 탑의 서탑의 서쪽(천·가루라)에 사용되는 면을 제외한 북쪽(긴나라‧마후라가)‧남쪽(아수라‧건달바)‧동쪽(야차‧용)에 사용하는 3면*의 면석이 발견되었다. * 북쪽면 : 길이 148cm · 너비 75cm, 남쪽면 : 길이 184cm · 너비 75cm, 동쪽면 : 길이 166cm · 너비 75cm9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현재까지 경주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는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 중에서 동일한 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각 전체가 8세기대의 조각양상에 비해서 정교하지 못한 편이고, 천의 자락 날림이 부자연스럽고 손 모양도 변형된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중반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관련 전공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 경주지역에서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는 담엄사지 석탑재, 창림사지 석탑, 남산리사지 서탑, 숭복사지 동·서탑, 인왕동사지(傳 인용사지) 동서탑재, 사제사지 탑재 등이 있음경주읍성*의 치성은 발굴조사를 통해서 체성과는 별도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며,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조선시대 세종(1418~1450년)연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적 제 96호인 경주 읍성의 최초 기록은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성보조(城保條)」에 현종(顯宗) 3년(1,012년)에 성을 쌓았다는 내용과 동경잡기(東京雜記)에 고려 우왕(禑王) 무오(戊午)년(1378년)에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다는 기사가 있음.한국문화재재단 박종섭 팀장은 “치성이 조선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볼 때 팔부중상 석탑재가 성벽의 석재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당시의 사상적 배경과 불교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밝혔다. (내용출처:경주시청)
-
- 뉴스
- 종교/학술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
- [사진출처 경주시청 홈페이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경주시청(시장 주낙영)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과 추진 중인 경주읍성 복원정비 사업부지(5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중 조선시대에 축조된 성벽에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 사용된 팔부중상* 면석 3매가 기단석으로 재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 청중을 구성하는 다양한 무리 중 하나로, 인간 이외의 다양한 존재를 일컫는 집합적 용어임. 천(天)ㆍ가루라(迦樓羅) / 용(龍)ㆍ야차(夜叉) / 건달바(乾闥婆)ㆍ아수라(阿修羅) / 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喉羅伽) 등 하늘의 천신(天神), 땅에 사는 지신(地神)과 축생(畜生), 물에 사는 수신(水神), 그리고 인간도 신도 아닌 반인반신(半人半神)이나 귀신같은 것들을 의미함. 팔부중상 면석은 다른 나라 탑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고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창안된 독특한 부조상임.읍성 동벽의 치성 기단석으로 사용 ‘팔부중상’ 이 부조된 탑재 3매는 읍성 5구간(경주읍성의 동문(향일문) 및 성벽의 북쪽구간으로 북벽으로 연결되는 구간)의 체성 벽에 덧대어 있는 치성의 가장 아래인 기단석으로 사용되었다. 5구간에서 치성은 현재 1개소만 확인되었는데, 최근까지 주택이 있었던 자리로 기초석과 기단석* 정도만 남아있다. 팔부중상이 부조된 면석 3매는 치성 기단의 북쪽과 동쪽 모서리를 연결하며 놓여 있으며, 기단석에는 팔부중상의 면석 이외에도 탑 부재들과 건물 터의 주초석 등이 사용되었다. 현재 기초석의 침하로 팔부중상 면석들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팔부중상의 부조 면이 위로 보며 놓여 있기 때문에 치성이 축조되었을 당시에는 그 위로 많은 석재들이 올려져있어 성벽 외부로 상이 아예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치성을 올리기 위한 기초석의 범위는 동서 길이 11m, 남북 너비 11m이며, 치성 기단석의 범위는 길이 10m, 너비 8m 이다.동·남·북면의 팔부중상만 확인‘팔부중상’ 면석 3매에는 각 1매에 1쌍의 팔부중상이 부조되어있다. 이번에 출토된 팔부중상은 탑의 서탑의 서쪽(천·가루라)에 사용되는 면을 제외한 북쪽(긴나라‧마후라가)‧남쪽(아수라‧건달바)‧동쪽(야차‧용)에 사용하는 3면*의 면석이 발견되었다. * 북쪽면 : 길이 148cm · 너비 75cm, 남쪽면 : 길이 184cm · 너비 75cm, 동쪽면 : 길이 166cm · 너비 75cm9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현재까지 경주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는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 중에서 동일한 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각 전체가 8세기대의 조각양상에 비해서 정교하지 못한 편이고, 천의 자락 날림이 부자연스럽고 손 모양도 변형된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중반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관련 전공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 경주지역에서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는 담엄사지 석탑재, 창림사지 석탑, 남산리사지 서탑, 숭복사지 동·서탑, 인왕동사지(傳 인용사지) 동서탑재, 사제사지 탑재 등이 있음경주읍성*의 치성은 발굴조사를 통해서 체성과는 별도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며,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조선시대 세종(1418~1450년)연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적 제 96호인 경주 읍성의 최초 기록은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성보조(城保條)」에 현종(顯宗) 3년(1,012년)에 성을 쌓았다는 내용과 동경잡기(東京雜記)에 고려 우왕(禑王) 무오(戊午)년(1378년)에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다는 기사가 있음.한국문화재재단 박종섭 팀장은 “치성이 조선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볼 때 팔부중상 석탑재가 성벽의 석재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당시의 사상적 배경과 불교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밝혔다. (내용출처:경주시청)
-
- 뉴스
- 종교/학술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
포토뉴스 검색결과
-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
- [사진출처 경주시청 홈페이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경주시청(시장 주낙영)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과 추진 중인 경주읍성 복원정비 사업부지(5구간)내 유적 발굴조사 중 조선시대에 축조된 성벽에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 사용된 팔부중상* 면석 3매가 기단석으로 재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 청중을 구성하는 다양한 무리 중 하나로, 인간 이외의 다양한 존재를 일컫는 집합적 용어임. 천(天)ㆍ가루라(迦樓羅) / 용(龍)ㆍ야차(夜叉) / 건달바(乾闥婆)ㆍ아수라(阿修羅) / 긴나라(緊那羅)ㆍ마후라가(摩喉羅伽) 등 하늘의 천신(天神), 땅에 사는 지신(地神)과 축생(畜生), 물에 사는 수신(水神), 그리고 인간도 신도 아닌 반인반신(半人半神)이나 귀신같은 것들을 의미함. 팔부중상 면석은 다른 나라 탑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고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창안된 독특한 부조상임.읍성 동벽의 치성 기단석으로 사용 ‘팔부중상’ 이 부조된 탑재 3매는 읍성 5구간(경주읍성의 동문(향일문) 및 성벽의 북쪽구간으로 북벽으로 연결되는 구간)의 체성 벽에 덧대어 있는 치성의 가장 아래인 기단석으로 사용되었다. 5구간에서 치성은 현재 1개소만 확인되었는데, 최근까지 주택이 있었던 자리로 기초석과 기단석* 정도만 남아있다. 팔부중상이 부조된 면석 3매는 치성 기단의 북쪽과 동쪽 모서리를 연결하며 놓여 있으며, 기단석에는 팔부중상의 면석 이외에도 탑 부재들과 건물 터의 주초석 등이 사용되었다. 현재 기초석의 침하로 팔부중상 면석들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팔부중상의 부조 면이 위로 보며 놓여 있기 때문에 치성이 축조되었을 당시에는 그 위로 많은 석재들이 올려져있어 성벽 외부로 상이 아예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치성을 올리기 위한 기초석의 범위는 동서 길이 11m, 남북 너비 11m이며, 치성 기단석의 범위는 길이 10m, 너비 8m 이다.동·남·북면의 팔부중상만 확인‘팔부중상’ 면석 3매에는 각 1매에 1쌍의 팔부중상이 부조되어있다. 이번에 출토된 팔부중상은 탑의 서탑의 서쪽(천·가루라)에 사용되는 면을 제외한 북쪽(긴나라‧마후라가)‧남쪽(아수라‧건달바)‧동쪽(야차‧용)에 사용하는 3면*의 면석이 발견되었다. * 북쪽면 : 길이 148cm · 너비 75cm, 남쪽면 : 길이 184cm · 너비 75cm, 동쪽면 : 길이 166cm · 너비 75cm9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현재까지 경주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는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 중에서 동일한 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각 전체가 8세기대의 조각양상에 비해서 정교하지 못한 편이고, 천의 자락 날림이 부자연스럽고 손 모양도 변형된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중반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관련 전공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 경주지역에서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는 담엄사지 석탑재, 창림사지 석탑, 남산리사지 서탑, 숭복사지 동·서탑, 인왕동사지(傳 인용사지) 동서탑재, 사제사지 탑재 등이 있음경주읍성*의 치성은 발굴조사를 통해서 체성과는 별도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며,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조선시대 세종(1418~1450년)연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적 제 96호인 경주 읍성의 최초 기록은 『고려사(高麗史)』「병지(兵志) 성보조(城保條)」에 현종(顯宗) 3년(1,012년)에 성을 쌓았다는 내용과 동경잡기(東京雜記)에 고려 우왕(禑王) 무오(戊午)년(1378년)에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다는 기사가 있음.한국문화재재단 박종섭 팀장은 “치성이 조선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볼 때 팔부중상 석탑재가 성벽의 석재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당시의 사상적 배경과 불교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밝혔다. (내용출처:경주시청)
-
- 뉴스
- 종교/학술
-
경주 읍성(邑城) 성벽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