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여행 검색결과
-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 순천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인 선암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자 조계종 제20교구의 본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순천 선암사를 만나보자. 천년고찰인 선암사는 백제시대 성왕 5년에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인물로, 처음 선암사를 지었을 당시의 사찰 이름은 ‘청량’이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선암사 일주문 안쪽에는 “고청량산해천사”라는 글씨가 남아있다고 한다. 현재 선암사는 태고종의 유일한 총림인 태고총림으로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종합수도 도량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선암사에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아치형 돌다리는 보물 제400호인 승선교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암으로 세워져 급류에도 휩쓸릴 염려 없이 튼튼하다. 다리의 가운데 부분에는 용 머리가 조각되어 있어 정교한 반원의 모습과 어우러진다. 잔잔한 물 속 모습과 합쳐치면 반원이 원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승선교를 건너게 되면 옆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보자.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선암사의 대웅전은 2차례의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던 것을 중건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장엄한 크기와 화려한 건축양식에서 조선 후기 중건 당시의 면모가 드러나 학술적·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대웅전은 이곳저곳에서 화려한 장식들을 볼 수 있어 눈이 즐겁다. 대웅전의 앞마당에는 보물인 선암사 동·서 삼측석탑이 나란히 서서 대웅전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긴 알 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구조의 삼인당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다. 신라시대 경문왕 2년에 도선국사가 만든 이 연못은 다른 연못들이 직선적인 방지 중도형 지당양식을 갖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연못 가운데에 있는 섬은 ‘자리리타’를, 알 모양 연못은 ‘자각각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교의 큰 뜻이자 중심 사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〇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
- 추천관광지
- 전남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깊은 산세 속 고즈넉한 산사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청량사.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청량산 속 오래된 역사를 가진 청량사에 방문했다. 청량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화려해 ‘소금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게 된 산이다. 퇴계 이황이 청량산을 두고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 나와 백구뿐”이라는 시조를 읊은 데서 청량산의 아름다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산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깎아지른듯한 절벽이 독특한 모습의 암봉들과 어우러진 모습이 절경인 청량산은 천년고찰 청량사를 품고 있다. 청량사는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유명한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27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큰 사찰이었던 청량사는 이후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유리보전과 응진전만 남기고 오랫동안 폐사되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86년 지현스님이 퇴락한 사찰을 일구어 다시 천년고찰의 명맥을 잇게 된 청량사는 매년 산사음악회를 여는 등 지역민과 함께하는 도량이 되어 경북 지역의 대표 사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고려 시대 공민왕이 친필로 쓴 현판이 걸린 청량사의 법당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인 청량사 유리보전이다. 처마의 짜임이 예스럽고 소박한 유리보전 건물은 앞면의 중간 기둥의 용머리와 용꼬리 장식으로 조선 후기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막돌 초석에 기둥을 세우고 지은 팔작지붕 유리보전은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 기둥을 세운 것이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으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청량사에서는 뿔 셋 달린 소에 관련한 이야기가 담긴 소나무를 볼 수 있다. 청량사 창건 당시 이웃 마을에 뿔이 세 개 달린 송아지가 태어났는데 이 송아지는 힘이 장사라 주인조차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막무가내로 자라났다. 그러던 어느 날 멀리서 원효대사가 찾아오자 지금까지와는 달리 소가 순해져 사찰 창건을 위해 일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을 나르고 나무를 옮기는 등의 중노동을 하던 소는 사찰을 열심히 짓다가 준공을 하루 앞둔 저녁 과도하게 쌓인 피로로 인해 죽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원효대사가 소를 절 앞마당에 묻자 그 무덤에서 소나무 한 자루가 자라나 세 가지로 갈라져 자랐다고 한다. 이 뿔 셋 달린 소와 ‘삼각우송’이라고 불리는 소나무는 지장보살의 화신이라고 여겨지며 청량사를 찾는 이마다 그의 명복과 자신의 안녕을 빌곤 한다. 눈앞에 넓게 펼쳐지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청량사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가는 평화로운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
- 추천관광지
- 경북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 순천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인 선암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자 조계종 제20교구의 본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순천 선암사를 만나보자. 천년고찰인 선암사는 백제시대 성왕 5년에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인물로, 처음 선암사를 지었을 당시의 사찰 이름은 ‘청량’이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선암사 일주문 안쪽에는 “고청량산해천사”라는 글씨가 남아있다고 한다. 현재 선암사는 태고종의 유일한 총림인 태고총림으로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종합수도 도량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선암사에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아치형 돌다리는 보물 제400호인 승선교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암으로 세워져 급류에도 휩쓸릴 염려 없이 튼튼하다. 다리의 가운데 부분에는 용 머리가 조각되어 있어 정교한 반원의 모습과 어우러진다. 잔잔한 물 속 모습과 합쳐치면 반원이 원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승선교를 건너게 되면 옆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보자.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선암사의 대웅전은 2차례의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던 것을 중건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장엄한 크기와 화려한 건축양식에서 조선 후기 중건 당시의 면모가 드러나 학술적·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대웅전은 이곳저곳에서 화려한 장식들을 볼 수 있어 눈이 즐겁다. 대웅전의 앞마당에는 보물인 선암사 동·서 삼측석탑이 나란히 서서 대웅전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긴 알 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구조의 삼인당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다. 신라시대 경문왕 2년에 도선국사가 만든 이 연못은 다른 연못들이 직선적인 방지 중도형 지당양식을 갖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연못 가운데에 있는 섬은 ‘자리리타’를, 알 모양 연못은 ‘자각각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교의 큰 뜻이자 중심 사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〇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
- 추천관광지
- 전남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깊은 산세 속 고즈넉한 산사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청량사.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청량산 속 오래된 역사를 가진 청량사에 방문했다. 청량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화려해 ‘소금강’이라는 별칭을 가지게 된 산이다. 퇴계 이황이 청량산을 두고 “청량산 육육봉을 아는 이, 나와 백구뿐”이라는 시조를 읊은 데서 청량산의 아름다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산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깎아지른듯한 절벽이 독특한 모습의 암봉들과 어우러진 모습이 절경인 청량산은 천년고찰 청량사를 품고 있다. 청량사는 해골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유명한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27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큰 사찰이었던 청량사는 이후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유리보전과 응진전만 남기고 오랫동안 폐사되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86년 지현스님이 퇴락한 사찰을 일구어 다시 천년고찰의 명맥을 잇게 된 청량사는 매년 산사음악회를 여는 등 지역민과 함께하는 도량이 되어 경북 지역의 대표 사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고려 시대 공민왕이 친필로 쓴 현판이 걸린 청량사의 법당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인 청량사 유리보전이다. 처마의 짜임이 예스럽고 소박한 유리보전 건물은 앞면의 중간 기둥의 용머리와 용꼬리 장식으로 조선 후기에 건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막돌 초석에 기둥을 세우고 지은 팔작지붕 유리보전은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 기둥을 세운 것이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특징으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청량사에서는 뿔 셋 달린 소에 관련한 이야기가 담긴 소나무를 볼 수 있다. 청량사 창건 당시 이웃 마을에 뿔이 세 개 달린 송아지가 태어났는데 이 송아지는 힘이 장사라 주인조차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막무가내로 자라났다. 그러던 어느 날 멀리서 원효대사가 찾아오자 지금까지와는 달리 소가 순해져 사찰 창건을 위해 일을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을 나르고 나무를 옮기는 등의 중노동을 하던 소는 사찰을 열심히 짓다가 준공을 하루 앞둔 저녁 과도하게 쌓인 피로로 인해 죽었다. 이를 불쌍히 여긴 원효대사가 소를 절 앞마당에 묻자 그 무덤에서 소나무 한 자루가 자라나 세 가지로 갈라져 자랐다고 한다. 이 뿔 셋 달린 소와 ‘삼각우송’이라고 불리는 소나무는 지장보살의 화신이라고 여겨지며 청량사를 찾는 이마다 그의 명복과 자신의 안녕을 빌곤 한다. 눈앞에 넓게 펼쳐지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청량사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가는 평화로운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〇 위치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247
-
- 추천관광지
- 경북
-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 원효대사가 만든 오래된 역사의 사찰
-
-
퇴계 선생의 가르침을 느낄 수 있는 곳, 도산서원
- 퇴계는 1561년 성리학적 가치를 실천하기 위하여 낙동강변에 도산서당과 농운정사를 건립하고 후학을 양성한다. 퇴계선생이 돌아가시고 4년 후인 1574년에 제자들과 유림들이 모여 도산서당 뒤편에 선생을 추모하고 학문을 이어받기 위하여 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도산서당과 도산서원의 위치는 퇴계선생께서 오래토록 고심하여 터를 잡은 곳이다. 처음 서당을 건립하고자하는 뜻을 가졌을 때 청량산과 도산서당 자리를 놓고 고심하였으나 자연성을 중시하고 소박하게 수행을 계속한 퇴계는 결국 이곳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흐르는 낙동강을 완상할 수 있는 도산서당은, 그러나 지금은 안동댐의 건립으로 입구가 바뀌고 풍취도 많이 사라졌다. 1575년에 선조가 한석봉의 친필인 “도산서당” 현판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다. 이후 도산서원은 조선시대 학문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퇴계의 학풍을 이어나갔다.
-
- 추천관광지
-
퇴계 선생의 가르침을 느낄 수 있는 곳, 도산서원
-
-
우거진 단풍과 계곡물이 어우러진, 문수사
- 문수사는 고창과 전남 장성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문수산(621m)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고수면 소재지에서 고수도요지를 지나 위로 올라가면 조산 저수지가 나오고, 왼쪽 골짜기를 타고 6km 정도 가면 숲이 우거진 산등 서향으로 문수사가 있다. 이 사찰은 물이 맑고 숲이 좋으며 인적이 드물어 오염이 되지 않은 곳이다. 지방유형문화재 제51호 문수사 대웅전, 제52호 문수사 문수전, 제154호 문수사 부도, 제207호 목조삼세불상, 제208호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이 있으며 기타 명부전, 한산전 등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소규모의 건물로 맞배지붕이 특이하다. 우거진 녹음 사이로 계곡물과 가을단풍이 천년 고찰과 잘 어우러져 보는 이의 발길을 잡는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단풍나무 수백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절경을 이룬다. 청량산 중턱에 있는 문수사는 백제 의자왕 4년(644)에 자장율사가 지은 사찰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당나라의 청량산에서 열심히 기도하던 자장율사는 꿈속에서 문수보살을 만나 부처님의 뜻을 깨닫고 돌아왔다. 그리고 우연히 이곳을 지나가다가 땅의 형세가 당나라의 청량산과 비슷하다고 하여 절을 짓고 문수사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조선 효종 4년(1653)과 영조 40년(1764)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은 고종 13년(1876)에 고창현감 김성로의 시주로 묵암대사가 다시 지었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작은 건물이면서도,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하기 위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배치된 다포양식 건물이다.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
-
- 추천관광지
-
우거진 단풍과 계곡물이 어우러진, 문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