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여행 검색결과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순천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인 선암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자 조계종 제20교구의 본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순천 선암사를 만나보자.         천년고찰인 선암사는 백제시대 성왕 5년에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인물로, 처음 선암사를 지었을 당시의 사찰 이름은 ‘청량’이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선암사 일주문 안쪽에는 “고청량산해천사”라는 글씨가 남아있다고 한다. 현재 선암사는 태고종의 유일한 총림인 태고총림으로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종합수도 도량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선암사에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아치형 돌다리는 보물 제400호인 승선교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암으로 세워져 급류에도 휩쓸릴 염려 없이 튼튼하다. 다리의 가운데 부분에는 용 머리가 조각되어 있어 정교한 반원의 모습과 어우러진다. 잔잔한 물 속 모습과 합쳐치면 반원이 원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승선교를 건너게 되면 옆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보자.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선암사의 대웅전은 2차례의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던 것을 중건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장엄한 크기와 화려한 건축양식에서 조선 후기 중건 당시의 면모가 드러나 학술적·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대웅전은 이곳저곳에서 화려한 장식들을 볼 수 있어 눈이 즐겁다. 대웅전의 앞마당에는 보물인 선암사 동·서 삼측석탑이 나란히 서서 대웅전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긴 알 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구조의 삼인당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다. 신라시대 경문왕 2년에 도선국사가 만든 이 연못은 다른 연못들이 직선적인 방지 중도형 지당양식을 갖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연못 가운데에 있는 섬은 ‘자리리타’를, 알 모양 연못은 ‘자각각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교의 큰 뜻이자 중심 사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〇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 추천관광지
    • 전남
    2022-10-28
  • 인천 강화군 전등사, 한국의 가장 오래된 사찰
      깔끔하게 정돈된 경내에는 아기자기한 화단도 조성되어 있고 커다란 나무들이 사찰을 둘러싸고 있어 아늑한 인상을 준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찰, 인천 강화군 전등사를 소개한다.         고구려 소수림왕 재위 시절 진종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생겼던 전등사는 아도화상이 창건한 사찰이다. 지금의 전등사라는 이름은 고려 충렬왕의 비 정화궁주가 ‘불법의 등불을 전한다’는 의미로 옥등을 시주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전등사는 화재로 소실되기도 하고 승유억불 정책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오랜 시간 같은 자리를 지키며 지금까지도 많은 불자들에게 위로가 되어주고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사찰답게 전등사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바로 은행이 열리지 않는 전등사 은행나무와 관련된 전설이다. 조선 철종 때 숭유억불 정책의 일환으로 조정에서 전등사에 은행을 스무 가마니나 진상품으로 요구했으나 열매가 열 가마니 어치밖에 나지 않아 스님들이 추송 스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추송 스님은 은행이 두 배나 더 열리는 기도를 하겠다며 3일 동안 기도를 했고 기도가 끝나자 은행을 받으러 온 관리들의 눈이 퉁퉁 부어버렸다. “이제 두 그루의 나무에서는 더 이상 은행이 열리지 않을 것이오”라는 말을 남기고 추송 스님은 사라졌는데 그때부터 전당사 은행나무는 꽃은 피지만 열매를 맺지 않는다고 한다.         전등사의 주 건물인 보물 제178호 대웅보전은 조선 중기 건축물로,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용궁과 같은 분위기의 법당 내부가 특징이다. 규모는 작지만 단정하고 정교한 대웅보전은 건물 내부 불단 위에 꾸며진 닫집과 보 위의 용틀임 등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MBC 예능 프로그램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출연자들이 템플스테이를 했던 절이기도 한 전등사는 휴식형과 체험형 템플스테이가 모두 있어 짧은 체험과 긴 휴식 모두 가능하다. 흔히 템플스테이는 ‘잃어버린 나를 찾는 시간’이라고 한다. 전등사 템플스테이는 가장 오래된 사찰에서 그 깊은 역사를 그대로 느낄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전등사의 입장료는 개인 어른 기준 4000원으로, 30명 이상의 단체나 미성년자 등은 할인이 된다. 주차장 바로 앞에는 식당들이 있으니 배가 고프면 들러서 강화도 향토 음식을 시도해 보면 어떨까.           〇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〇 전등사 홈페이지 : http://www.jeondeungsa.org/index.php
    • 추천관광지
    • 인천
    2022-09-01
  • [경상북도 김천시] 가을에 가볼 만한 풍성한 볼거리, 김천 여행
    철따라 피는 꽃과 붉게 물든 단풍, 그리고 억새가 상쾌한 김천의 명산, 황악산. 시원하게 펼쳐지는 황악산의 절경을 뒤로하고 고즈넉하게 들어 않은 동국제일가람 직지사권 김천 여행지를 살펴보자.     사명대사공원 사명대사공원은 백두대간 황악산의 아름다운 자연과 인근 직지사 등 문화·역사 자원을 연계하여 자연 속에서 쉬어가며 체험하는 관광지, 김천의 역사와 문화를 눈으로 보고 체험하는 관광지를 테마로 주요 시설로는 평화의 탑, 김천시립박물관, 건강문화원, 솔향다원, 여행자센터 등이 있다.   ○주소 : 대항면 운수리 224 ○문의 : 054-421-1500     김천시립박물관 김천시립박물관은 김천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김천에서 출토된 다양한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다. 또한 기획전시실과 영상실, 강당, 세미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김천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어린이문화체험실과 VR패러글라이딩체험 등의 체험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주소 : 대항면 직지사길 130 ○문의 : 054-421-1510     직지사 황악산의 절경을 배경으로 고즈넉하게 들어낮은 직지사는 신라 눌지왕 2년(418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천년고찰로,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나라와 민족을 구한 사명대사가 출가한 사찰로 유명하다.   ○주소 : 대항면 직지사길 95 ○문의 : 054-429-1700     직지문화공원 많은 조각작품과 시비(詩碑)가 곳곳에 있어 야외 전시장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원형분수가 음악에 맞춰 화려한 분수쇼를 선보이고, 2,000명이 동시 관람할 수 있는 야외공연장에서 빗내농악공연, 전통혼례식 등 문화공연이 열린다.   ○주소 : 대항면 운수리 31-1 ○문의 : 054-420-6613 (사진출처 : 김천문화관광)  
    • 여행
    2020-10-05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순천 선암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
      순천 조계산에 위치한 사찰인 선암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자 조계종 제20교구의 본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순천 선암사를 만나보자.         천년고찰인 선암사는 백제시대 성왕 5년에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되었다. 그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인물로, 처음 선암사를 지었을 당시의 사찰 이름은 ‘청량’이었다고 한다. 아직까지도 선암사 일주문 안쪽에는 “고청량산해천사”라는 글씨가 남아있다고 한다. 현재 선암사는 태고종의 유일한 총림인 태고총림으로서 수많은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종합수도 도량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선암사에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아치형 돌다리는 보물 제400호인 승선교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승선교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암으로 세워져 급류에도 휩쓸릴 염려 없이 튼튼하다. 다리의 가운데 부분에는 용 머리가 조각되어 있어 정교한 반원의 모습과 어우러진다. 잔잔한 물 속 모습과 합쳐치면 반원이 원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승선교를 건너게 되면 옆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보자.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선암사의 대웅전은 2차례의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던 것을 중건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장엄한 크기와 화려한 건축양식에서 조선 후기 중건 당시의 면모가 드러나 학술적·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대웅전은 이곳저곳에서 화려한 장식들을 볼 수 있어 눈이 즐겁다. 대웅전의 앞마당에는 보물인 선암사 동·서 삼측석탑이 나란히 서서 대웅전을 지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긴 알 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구조의 삼인당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선암사에서만 볼 수 있다. 신라시대 경문왕 2년에 도선국사가 만든 이 연못은 다른 연못들이 직선적인 방지 중도형 지당양식을 갖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연못 가운데에 있는 섬은 ‘자리리타’를, 알 모양 연못은 ‘자각각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불교의 큰 뜻이자 중심 사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〇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 추천관광지
    • 전남
    2022-10-28
  • 인천 강화군 전등사, 한국의 가장 오래된 사찰
      깔끔하게 정돈된 경내에는 아기자기한 화단도 조성되어 있고 커다란 나무들이 사찰을 둘러싸고 있어 아늑한 인상을 준다.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찰, 인천 강화군 전등사를 소개한다.         고구려 소수림왕 재위 시절 진종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생겼던 전등사는 아도화상이 창건한 사찰이다. 지금의 전등사라는 이름은 고려 충렬왕의 비 정화궁주가 ‘불법의 등불을 전한다’는 의미로 옥등을 시주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전등사는 화재로 소실되기도 하고 승유억불 정책의 탄압을 받으면서도 오랜 시간 같은 자리를 지키며 지금까지도 많은 불자들에게 위로가 되어주고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사찰답게 전등사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바로 은행이 열리지 않는 전등사 은행나무와 관련된 전설이다. 조선 철종 때 숭유억불 정책의 일환으로 조정에서 전등사에 은행을 스무 가마니나 진상품으로 요구했으나 열매가 열 가마니 어치밖에 나지 않아 스님들이 추송 스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추송 스님은 은행이 두 배나 더 열리는 기도를 하겠다며 3일 동안 기도를 했고 기도가 끝나자 은행을 받으러 온 관리들의 눈이 퉁퉁 부어버렸다. “이제 두 그루의 나무에서는 더 이상 은행이 열리지 않을 것이오”라는 말을 남기고 추송 스님은 사라졌는데 그때부터 전당사 은행나무는 꽃은 피지만 열매를 맺지 않는다고 한다.         전등사의 주 건물인 보물 제178호 대웅보전은 조선 중기 건축물로,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용궁과 같은 분위기의 법당 내부가 특징이다. 규모는 작지만 단정하고 정교한 대웅보전은 건물 내부 불단 위에 꾸며진 닫집과 보 위의 용틀임 등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MBC 예능 프로그램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출연자들이 템플스테이를 했던 절이기도 한 전등사는 휴식형과 체험형 템플스테이가 모두 있어 짧은 체험과 긴 휴식 모두 가능하다. 흔히 템플스테이는 ‘잃어버린 나를 찾는 시간’이라고 한다. 전등사 템플스테이는 가장 오래된 사찰에서 그 깊은 역사를 그대로 느낄 수 있어 더욱 뜻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전등사의 입장료는 개인 어른 기준 4000원으로, 30명 이상의 단체나 미성년자 등은 할인이 된다. 주차장 바로 앞에는 식당들이 있으니 배가 고프면 들러서 강화도 향토 음식을 시도해 보면 어떨까.           〇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〇 전등사 홈페이지 : http://www.jeondeungsa.org/index.php
    • 추천관광지
    • 인천
    2022-09-01
  • 봉황이 깃든 천년 고찰 대원사
    대원사는 천봉산 봉우리를 약간 오른쪽으로 둔 정남향을 하고 있는 사찰로서 6·25동란 이전까지만 해도 10여동의 건물들이 유전되고 있었으나 여순사건때 모두 불타버리고 거의 폐허가된 상태였다. 그러나 다행이도 당시 극락전 건물만 남아있게 되었다.사찰의 연혁을 보면 오랜 전통을 갖고있어 조선사찰사료에 의하면 초창(初創)은 신라지증왕시 아도화상(阿道和尙)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 후로 고려시대에 와서는 조계 제오세 원오국사(圓悟國師)가 중건하였고 조선조로 넘어와서는 영조 43년에 중건하였다고 기록되고 있다.   건물의 규모를 보면 정면 3간, 측면 2간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 형식의 건물로 기단(基壇)은 전면에 1m이상의 잡석축대(雜石築臺)를 쌓고 양면 및 배면은 얕은데 전면중앙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초석은 자연석으로 덤벙 주초방식이며 기둥은 약간 배흘림이 있고 우주에는 미세한 귀솟음이 보인다.공포의 형식은 형방위호부터 짜여진 다포형식으로 전후 각주간에는 공간포를 각각 2구씩 배열하였으며출목(出目)은 외삼출목(外三出目), 외사출목(외사출목)으로 외칠포작(外七包作), 외구포작(外九包作) 형식이다.외부쇠서는 삼앙일수설(三仰一垂舌)로서 앙설밑에는 연봉을 조출시켰다.     가구(架構)를 보면 대량(大梁)이 내고주(內高柱)에 끼워져 상부가구재 (上部架構材)를 받고 있으며 종량(宗梁은 대량(大梁)위에 놓여진 동자주(童子柱)가 받게 하였다.천정은 하중도리(下中道里) 위로부터 우물천정으로 처리하였다.처마는 겹처마이고 단천은 내외부 금모노단청(錦毛老丹靑)을 하였다.불단위로는 중앙에 아미타불이 본존불로 모셔져 있는데 좌우보처(左右補處)로 두 협시불(脇侍佛)이 있어야 하나 한불은 6·25후 분실하였다 하며 한불의 협시불만 우측에 남아있다.     주소 :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06-8  
    • 추천관광지
    2020-06-2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