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2(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 검색결과

  •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대 인장(印章)‧인장함 발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과 공동으로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인근해역을 조사한 결과, 국내 최초로 중국 남송(南宋, 1127~1279)대 인장 두 과(顆)와 인장함이 일습(一襲)으로 발굴되었다.   두 과의 인장과 인장함은 해저에 있는 바위 사이 모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인장들은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두 과 모두 재질은 목재이다.   이 중 한 과(인장1, 1.7cm×1.7cm, 높이 2.3cm)는 정사각형 인신(印身, 도장 몸체) 위에 단순한 형태의 인뉴(印鈕, 손잡이)가 있다.   인면(印面)에는 ‘謹封(근봉)’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근봉은 ‘삼가 봉한다’는 의미로 서신을 발송할 때 봉투에 찍거나, 물건을 포장하고 그 위에 찍는 용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인면에 새겨진 글자 획 사이에는 붉은색 인주까지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우리나라 인장 중에서도 ‘근봉’이 있으나 조선 시대 것들이다.   다른 한 과의 인장(인장2, 1.4cm×2.8cm, 높이 2.2cm)은 인면에 문양이 새겨져 있다. 중국 학계의 분류에 따르면 길상무늬를 새긴 초형인(肖形印)에 해당된다.    문양은 크게 위아래로 구분되는데 상부는 동전 모양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으며, 하부는 불분명하다.  *초형인(肖形印): 인면에 길상(吉祥)의 그림이 새겨진 인장   인장함은 조각으로 발견되어 원래 형태를 완전히 알 수는 없지만, 사각형 몸체에 뚜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성분은 납과 주석이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조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그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하여 추가로 금제장신구 2점을 발견하였다. 1997년 제주대학교박물관에서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하면서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푸젠성(福建省)에서 제작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저장성(浙江省) 룽취안요(龍泉窯)’에서 제작된 청자들이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9월 수중탐사로 ‘금옥만당(金玉滿堂)’, ‘하빈유범(河濱遺範)’ 명문이 찍힌 청자를 포함한 500여 점의 중국 남송대 청자(조각)를 추가로 수습하기도 하였다.  *수중탐사 : 수중의 현상 변경없이 해저면의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육상의 지표조사와 같음   이번 수중발굴조사는 지난해 9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진행한 수중탐사 이후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루어졌다. 기존 조사가 해저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수습하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조사는 해저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면서 해저상의 유물양상을 수중고고학적 조사방법으로 처음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발굴조사 결과, 좁은 범위(10m×30m)에서 인장, 인장함뿐 아니라 400여 점의 도자기 조각들도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신창리 수중유적에서 발견된 다량의 남송 시대 도자기는 당시 중국, 한국, 일본 간의 해상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들이다. 일본 가고시마(鹿兒島) 아마미오섬(奄美大島) 쿠라키자키(倉木崎) 수중유적에서도 같은 양식의 도자기들이 확인되었다. 인장의 경우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특히 해양교류 등 관련 연구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제주 신창리 해저 발굴결과를 기존 조사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제주박물관과 공동으로 발굴보고서를 작성하고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신창리 해역을 추가 조사하는 한편, 양 기관이 협력하여 제주도 전 해역에 대한 수중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제주도가 과거 국제교류 상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적극적으로 밝힐 것이다.
    • 뉴스
    • 종교/학술
    2019-09-30
  • 해양의 상고사, 환황해권의 해양문화 살펴보는 자리 갖는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한국상고사학회(회장 김재홍)와 함께 ‘해양의 상고사, 환황해권의 해양문화’ 라는 주제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사회교육관(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공동학술대회를 오는 20일 오후 1시에 개최한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교통, 생업, 물질, 종교’라는 주제를 바닷길과 연결하여 해양문화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해양의 상고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마련하였다.   이번 대회는 총 7개의 주제로 ▲ 3~5세기 한‧중‧일 연안항로의 운용과 변동(유호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고려시대 조운과 전라도 지역 조창(정홍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바닷가에 남긴 흔적, 패총(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 ▲ 서남해 지역의 고대 무덤의 축조인들(이정호, 동신대학교), ▲ 서해안 바닷길의 해양문화유산과 거점섬(김애경,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초기철기-원삼국 시대 구슬 해상교역과 환황해권 정치 경관 변화(허진아, 서울대학교), ▲ 물질의 전래와 불교신앙(강희정, 서강대학교) 등이 발표되며, 이후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료집은 현장에서 배포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번 공동학술대회가 해양문화유산과 한국 상고사 연구의 전문역량을 강화하고, 상호간 연구를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학술교류를 통해 해양문화유산 가치창출을 위해 더욱 노력 할 것이다.  
    • 뉴스
    • 종교/학술
    2019-09-18

여행 검색결과

  • [전라남도 목포시] 영혼도 쉬어가는 쉼터, 목포여행
    영혼도 쉬어가는 유달산, 두마리 학이 펼치는 춤사위 목포대교 야경, 반사되는 노을 빛이 아름다운 목포의 관광 보물 갓바위, 물과 음악과 그리고 빛의 예술, 춤추는 바다분수, 이순신 장군의 호국혼이 담긴, 노적봉까지. 자연과 함께 영혼이 쉬어갈 수 있는 목포 여행터를 알아보자.     유달산 유달산의 또 다른 이름은 '영달산'으로 영혼이 거쳐 가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노령산맥의 큰 줄기가 무안반도 남단에 이르러 마지막 용솟음을 한 곳, 유달산은 면적140ha, 높이 228.3m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노령산맥의 맨 마지막 봉우리이자 다도해로 이어지는 서남단의 땅 끝인 산이다.   ○주소 : 목포시 노적봉길 45 (측후동) ○문의 : 061-270-8359     목포대교 일몰 두마리 학이 펼치는 춤사위, 목포대교야경 2012년에 완공된 목포대교는 총 연장 4,129㎞ 너비 35~40m의 왕복 4차선 도로로 목포 북항과 고하도를 잇는 해상교량으로 비상하는 학의 날개처럼 아름다운 모습과 일몰이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자아내고 있다.   ○주소 : 목포시 고하대로597번길 73 ○문의 : 061-272-2171     갓바위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된 갓바위는 두 사람이 나란히 삿갓을 쓰고 서 있는 모습의 바위로 약 8천만년전 화산재가 굳어진 용결응회암이다. 예전에는 배를 타고 나가야만 볼 수 있었던 갓바위를 해상에서 직접 조망할 수 있는 보행교를 바다위에 설치하여 더욱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주소 : 목포시 남농로 166-1 ○문의 : 061-270-8430     춤추는 바다분수 목포 춤추는 바다분수는 세계최초 초대형 부유식 음악분수이며 물과 빛, 음악의 하모니를 통한 아름다운 장관 연출한다. 수반길이 150m, 높이 13.5m, 최대 분사높이 70m인 춤추는 바다분수는 잔잔한 바다 위, 워터스크린에 펼쳐진 아름다운 사연이 감미로운 선율과 화려한 빛, 거대한 물줄기 춤에 맞춰 스토리가 있는 레이저쇼와 함께 매일 밤 웅장하고 환상적인 공연이 펼쳐지고 관람객과 함께 하는 사연소개, 프로포즈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광객들에게 소중한 추억을 선사한다.   ○주소 : 목포시 미항로 115 ○문의 : 061-270-8581     노적봉 노적봉(露積峯)은 해발 60m의 바위산에 불과하지만 왜적을 물리친 이순신 장군의 호국혼이 담겨있다. 정유재란 때 12척의 배로 불가능해 보였던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전열을 재정비 하는 동안 조선의 군사와 군량미는 턱없이 부족하여 바로 왜적이 쳐들어온다면 함락 될 수밖에 없는 위기에 놓여 있었다. 이때 노적봉은 아주 큰 역할을 하였다.   ○주소 : 목포시 노적봉길 45 ○문의 : 061-270-8411 (사진출처 : 목포문화관광)  
    • 여행
    2020-08-05
  • 아름다운 일몰명소, 전남 무안 청계복길항
    전남무안의 청계는 예로부터 명산으로 불리는 승달산에서 흘러내리는 냇물이 마르지않고 맑기로 유명하여 마을을 청계라 하였다. 목포대학교가 있는 청계면에서 5분거리에 위치한 조그만 어촌마을 복길마을.복길(卜吉)이란 지명은 이 마을의 모양이 ‘卜'자처럼 생겨서 지어졌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고 영광에 살던 전주이씨 후손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마을이다.  그 중 청계복길항은 아름다운 노을을 감상할 수 있는 관광명소이다.마을앞 갯벌과 바다에서 잡아올린 싱싱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어 남도 바다의 깊은 맛도 즐기 수 있다.남도의 바다와 해안에 연접하여 해상교통의 중심지가 되는 복길항은 바라만 봐도 자연의 경이로움이 느껴진다. 해질 무렵 비치는 복길항의 일몰을 감상하러 많은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
    • 여행
    2020-05-28
  • 여수-고흥 잇는 해상교 28일 완전 개통…섬 관광시대 ‘성큼’
    28일 15시부터 여수시 화양면에서 화정면까지 17km를 잇는 국도 77호선 화양-적금 도로의 차량통행이 시작된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만긱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벨트 구축으로 여객·물류비 절감 등 지역경제 및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도77호선 ‘화양-적금’ 도로건설공사는 여수 지역 4개 섬(조발도, 둔병도, 낭도, 적금도)을 5개의 해상교량으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2011년 12월 착공한 이래 8년여 동안 총 사업비 3,907억 원이 투입되었다. 이번 개통으로 2016년 개통한 팔영대교(1.4㎞, 여수화정면적금도∼고흥영남면)와 연계되어 고흥군에서 여수시까지 해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고흥-여수 간 기존도로 대비 거리 55km가 단축되고 시간은 80분에서 30분으로 51분이 줄어들었다.     * 운행거리 55km(85km→ 30km), 운행시간 51분(81분→30분) 단축 특히, 이번 해상 연결로 섬·해양 관광자원으로의 접근성 향상은 물론, 다양한 모습의 해상교량과 주변에 조성된 전망공원이 다도해해상공원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지역의 상징물로 작용하게 되어 여수·고흥을 찾는 관광객 증가와 함께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조발도, 둔병도, 낭도, 적금도 4개 섬 주민들(282가구 431명, ‘19년 기준)은 배를 이용하지 않고도 24시간 편리하게 육지를 오갈 수 있게 되어 교육·의료·문화시설 등으로 접근성 향상 등 생활 여건이 개선되었다. 국토교통부 김용석 도로국장은 “여수 화양–적금 간 도로의 안전한 개통을 위해 협력해 주신 지역 주민과 관계 기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화양-적금’ 도로는 지난해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추진 중인 ‘여수 화태-백야’ 사업과 연계될 것이며, 사업효과가 극대화되어 균형발전과 함께 세계적인 해안관광도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내용출처: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추천관광지
    • 전남
    2020-02-28

추천관광지 검색결과

  • 두마리 학이 펼치는 춤사위, 목포대교야경
      2012년에 완공된 목포대교는 총 연장 4,129㎞ 너비 35~40m의 왕복 4차선 도로로 목포 북항과 고하도를 잇는 해상교량으로비상하는 학의 날개처럼 아름다운 모습과 일몰이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자아내고 있다.   목포대교(木浦大橋)는 목포시에 있는 국도 제1호선의 자동차 전용도로 교량으로, 죽교동과 유달동의 고하도, 허사도를 연결하며, 목포 신외항과 서해안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목포의 관문으로 주탑과 케이블의 모양은 목포의 시조(市鳥)인 학 두마리가 목포 앞바다를 날아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목포의 해지는 저녁은 고하도 용머리길에서 바다를 뜨겁게 달구며 넘어가는 황홀한 낙조를 만날 수 있다.이글거리는 해가 차가운 남쪽 바다로 잠겨가는 낙조의 짧은 순간은 황홀하다. 해가 다 넘어가고 나서 붉은 기운이 남아있는 수면 위로 온 하늘이 붉게 물들 때 더 뜨겁고 화려하다.   2018년에는 목포 앞바다를 아래로 하고 유달산과 고하도를 가로지르는 해상 케이블카가 운행됨으로써 목포의 아름다운 바다 자연경관을 한층 더 만끽할 수 있게 된다.
    • 추천관광지
    2021-01-22
  • 여수-고흥 잇는 해상교 28일 완전 개통…섬 관광시대 ‘성큼’
    28일 15시부터 여수시 화양면에서 화정면까지 17km를 잇는 국도 77호선 화양-적금 도로의 차량통행이 시작된다. 천혜의 자연경관을 만긱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벨트 구축으로 여객·물류비 절감 등 지역경제 및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도77호선 ‘화양-적금’ 도로건설공사는 여수 지역 4개 섬(조발도, 둔병도, 낭도, 적금도)을 5개의 해상교량으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2011년 12월 착공한 이래 8년여 동안 총 사업비 3,907억 원이 투입되었다. 이번 개통으로 2016년 개통한 팔영대교(1.4㎞, 여수화정면적금도∼고흥영남면)와 연계되어 고흥군에서 여수시까지 해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고흥-여수 간 기존도로 대비 거리 55km가 단축되고 시간은 80분에서 30분으로 51분이 줄어들었다.     * 운행거리 55km(85km→ 30km), 운행시간 51분(81분→30분) 단축 특히, 이번 해상 연결로 섬·해양 관광자원으로의 접근성 향상은 물론, 다양한 모습의 해상교량과 주변에 조성된 전망공원이 다도해해상공원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지역의 상징물로 작용하게 되어 여수·고흥을 찾는 관광객 증가와 함께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조발도, 둔병도, 낭도, 적금도 4개 섬 주민들(282가구 431명, ‘19년 기준)은 배를 이용하지 않고도 24시간 편리하게 육지를 오갈 수 있게 되어 교육·의료·문화시설 등으로 접근성 향상 등 생활 여건이 개선되었다. 국토교통부 김용석 도로국장은 “여수 화양–적금 간 도로의 안전한 개통을 위해 협력해 주신 지역 주민과 관계 기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면서, ‘화양-적금’ 도로는 지난해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추진 중인 ‘여수 화태-백야’ 사업과 연계될 것이며, 사업효과가 극대화되어 균형발전과 함께 세계적인 해안관광도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내용출처: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추천관광지
    • 전남
    2020-02-28
  •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대 인장(印章)‧인장함 발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과 공동으로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인근해역을 조사한 결과, 국내 최초로 중국 남송(南宋, 1127~1279)대 인장 두 과(顆)와 인장함이 일습(一襲)으로 발굴되었다.   두 과의 인장과 인장함은 해저에 있는 바위 사이 모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인장들은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두 과 모두 재질은 목재이다.   이 중 한 과(인장1, 1.7cm×1.7cm, 높이 2.3cm)는 정사각형 인신(印身, 도장 몸체) 위에 단순한 형태의 인뉴(印鈕, 손잡이)가 있다.   인면(印面)에는 ‘謹封(근봉)’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근봉은 ‘삼가 봉한다’는 의미로 서신을 발송할 때 봉투에 찍거나, 물건을 포장하고 그 위에 찍는 용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인면에 새겨진 글자 획 사이에는 붉은색 인주까지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우리나라 인장 중에서도 ‘근봉’이 있으나 조선 시대 것들이다.   다른 한 과의 인장(인장2, 1.4cm×2.8cm, 높이 2.2cm)은 인면에 문양이 새겨져 있다. 중국 학계의 분류에 따르면 길상무늬를 새긴 초형인(肖形印)에 해당된다.    문양은 크게 위아래로 구분되는데 상부는 동전 모양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으며, 하부는 불분명하다.  *초형인(肖形印): 인면에 길상(吉祥)의 그림이 새겨진 인장   인장함은 조각으로 발견되어 원래 형태를 완전히 알 수는 없지만, 사각형 몸체에 뚜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성분은 납과 주석이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조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그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하여 추가로 금제장신구 2점을 발견하였다. 1997년 제주대학교박물관에서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하면서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푸젠성(福建省)에서 제작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저장성(浙江省) 룽취안요(龍泉窯)’에서 제작된 청자들이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9월 수중탐사로 ‘금옥만당(金玉滿堂)’, ‘하빈유범(河濱遺範)’ 명문이 찍힌 청자를 포함한 500여 점의 중국 남송대 청자(조각)를 추가로 수습하기도 하였다.  *수중탐사 : 수중의 현상 변경없이 해저면의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육상의 지표조사와 같음   이번 수중발굴조사는 지난해 9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진행한 수중탐사 이후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루어졌다. 기존 조사가 해저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수습하는 과정이었다면, 이번 조사는 해저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면서 해저상의 유물양상을 수중고고학적 조사방법으로 처음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발굴조사 결과, 좁은 범위(10m×30m)에서 인장, 인장함뿐 아니라 400여 점의 도자기 조각들도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신창리 수중유적에서 발견된 다량의 남송 시대 도자기는 당시 중국, 한국, 일본 간의 해상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들이다. 일본 가고시마(鹿兒島) 아마미오섬(奄美大島) 쿠라키자키(倉木崎) 수중유적에서도 같은 양식의 도자기들이 확인되었다. 인장의 경우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특히 해양교류 등 관련 연구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제주 신창리 해저 발굴결과를 기존 조사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제주박물관과 공동으로 발굴보고서를 작성하고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신창리 해역을 추가 조사하는 한편, 양 기관이 협력하여 제주도 전 해역에 대한 수중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제주도가 과거 국제교류 상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적극적으로 밝힐 것이다.
    • 뉴스
    • 종교/학술
    2019-09-30
  • 해양의 상고사, 환황해권의 해양문화 살펴보는 자리 갖는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한국상고사학회(회장 김재홍)와 함께 ‘해양의 상고사, 환황해권의 해양문화’ 라는 주제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사회교육관(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공동학술대회를 오는 20일 오후 1시에 개최한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교통, 생업, 물질, 종교’라는 주제를 바닷길과 연결하여 해양문화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해양의 상고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마련하였다.   이번 대회는 총 7개의 주제로 ▲ 3~5세기 한‧중‧일 연안항로의 운용과 변동(유호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고려시대 조운과 전라도 지역 조창(정홍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바닷가에 남긴 흔적, 패총(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 ▲ 서남해 지역의 고대 무덤의 축조인들(이정호, 동신대학교), ▲ 서해안 바닷길의 해양문화유산과 거점섬(김애경,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초기철기-원삼국 시대 구슬 해상교역과 환황해권 정치 경관 변화(허진아, 서울대학교), ▲ 물질의 전래와 불교신앙(강희정, 서강대학교) 등이 발표되며, 이후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료집은 현장에서 배포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번 공동학술대회가 해양문화유산과 한국 상고사 연구의 전문역량을 강화하고, 상호간 연구를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학술교류를 통해 해양문화유산 가치창출을 위해 더욱 노력 할 것이다.  
    • 뉴스
    • 종교/학술
    2019-09-18
비밀번호 :